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과 학교환경변인의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Level of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of LD at-risk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Influence of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허유성 김민성 박주성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215~24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중학교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조절·완화하기 위한 학교환경 내 주요 변인들의 가능성을 탐색한 종단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통해 성취수준이 하위 약 25% 미만에 해당하는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포함하는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환경변인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에 참여한, 저성취 학생 506명을 포함한, 중학교 1, 2학년 학생 2,183명의 종단연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다변량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가정환경변인(경제적 수준, 부모의 학력, 양육방식)과 개인특성변인(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성별, 학업성취수준)을 통제한 후 학교환경변인의 독자적이고 추가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정도가 일반학생에 비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변인과 개인특성변인을 통제하였을 때, 학교환경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성취 학생의 경우 일반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요인을 보면, 수업참여, 학교에 대한 가치 인식이 정서·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대적으로 교사·학생 관계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not only the levels of LD at-risk middle school students'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but also effects of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on them compared with normally achieving students as currently middle school students'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have emerged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issues. To analyze true school environment effects, both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including SES, parent education levels, and parenting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steem, self-resilience, gender, and achievement levels were controll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For this, the 1st and 2nd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was used in this study. A total of 2,183 students including 506 LD at-risk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MANOVA was employed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wo types of students in the levels of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Hierarchical regression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t first, revealed that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were worse than students with normal achievement in the levels of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Second, when variables from family environmen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the effect of school environ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 normal achievement group than LD at-risk group. In detail, class participation, peer relationship, and perception of school value were significant. However, the effect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 was relatively smaller than others.

목차

Ⅰ.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유성,김민성,박주성. (2014).중학교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과 학교환경변인의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6 (4), 215-242

MLA

허유성,김민성,박주성. "중학교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과 학교환경변인의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6.4(2014): 215-2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