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HD 아동의 사회성기술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Studies Related to Social Skill for Children with ADHD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윤희봉 강민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243~2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ADHD 아동의 사회성기술에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ADHD 아동의 사회성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40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유형, 연구의 일반적 특성, 중재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유형은 실험연구가 23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2007년도에 9편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둘째, 중재대상자 수는 10명 미만이 9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성별은 남자 202명과 여자 90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부 학생 대상 논문이 2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중재 장소는 학교환경에서 시행한 논문 9편이었다. 셋째, 설계방법은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 14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중재방법은 사회성기술훈련프로그램 10편, 중재회기는 11회에서 20회 까지 중재한 논문이 12편으로 가장 많았다. 중재시간은 51분에서 60분까지 중재한 논문이 11편이었으며 그룹 내 또는 그룹간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연구에서 t-검정을 활용하였다. 중재효과는 22편에서 사회성기술에 향상이 있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가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future social skill-related for children with ADHD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DHD. To this purpose, the 40 studies published in national journals convenience from 2004 to 2014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research types,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vention methods. First, research methods trend to have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X in 2007, was an experimental study was the most with 23. Second, in the number of subjects was 10 people under the most 9 research, and gender were 202 men, 90 female people. And elementary students were also the most 20 research, place of research was conducted the most 9 in a school environment. Third, the design method is a pre-post control group design with 14, the most interventions is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f 10, mediation sessions are the most 12 papers with 11 to 20 times. Mediation time is 11 research in 51-60 minutes arbitration, pre-post scores between group or within group were compared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t-test in most studies. Intervention effects were presented to the conclusion in 22 papers there was an improvement in social skills. The discussion has been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과 학교환경변인의 영향
- 활동매트릭스를 활용한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운동능력 및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중증 자폐성장애 학생의 자해 행동, 자리이탈 행동, 자위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의 동음이의어 이해 특성 연구
-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Korean Cued Speech 3.0)의 구조적 타당성
-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의 인식
- ADHD 아동의 사회성기술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벤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연역추론 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 위험아동,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아동, 일반아동 간의 행동적 특성 비교
-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분석
- ADHD 남아의 교사지지와 또래지지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