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의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Manage Job-centered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홍정숙 김금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103~12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담당 특수교사들의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를 통하여 포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거점학교의 운영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9명의 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와의 면담 자료를 Van Kaam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27개의 부주제, 9개의 주제, 성과요인과 과제요인이라는 2개의 범주로 분류되었으며, 거점학교 특수교사들은 성과요인보다 과제요인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범주인 성과요인으로는 거점학교 운영을 통해 특수학급 교사, 학부모, 유관기관 등의 관계자 및 관계기관과의 연계가 강화되었고, 거점학교 참여 특수학급 학생들과 교사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이들의 진로와 취업에 대한 인식이 적극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적절한 진로직업교육 기회의 확대와 취업률 제고를 이룬 점을 들고 있었다. 두 번째 범주인 과제요인으로는 인력부족으로 대표되는 거점학교 업무환경의 개선 필요성, 성과 위주의 거점학교 정책에 대한 지적, 관리자·학부모·지역사회 등의 장애인식개선의 필요성, 유관기관과의 연계·협력, 현장실습, 거점학교 특성화 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거점학교 정체성에 대한 재고 필요성, 교육청 등의 상급기관과 교내에서의 행정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거점학교 운영 내실화를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to stabilize the future management of job-centered schools by the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manage job-centered schools based on a qualitative study.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with 9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manage job-centered schools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Van Kaam. As the results, the data were segmented into 27 sub-themes, 9 themes, and 2 categories of achievement and challenge factor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perceive challenge factors more strongly than achievement factors. As the first category of achievement factors, they pointed out that the management of job-centered schools strengthened the connection among the related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special class teachers,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produc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mong special class students an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job-centered schools, changed their perception of future directions and employment in an active manner, and expanded the opportunities for prope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increased employment rates. As the second category of challenge factors, they included the need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job-centered schools characterized by the lack of human resources, criticism of the policies of the job-centered schools, which were without long-term and systematic approaches and focused on quantitative outcomes, the needs of improving the awareness of a disability of administrators,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local communities, reconsideration on the identity of the job-centered schools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connec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organizations, field training,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job-centered schools, and the needs of providing administrative support by high-level organizations such as the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tasks necessary for stabilizing the future management of the job-centered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과 학교환경변인의 영향
- 활동매트릭스를 활용한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운동능력 및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중증 자폐성장애 학생의 자해 행동, 자리이탈 행동, 자위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의 동음이의어 이해 특성 연구
-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Korean Cued Speech 3.0)의 구조적 타당성
-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의 인식
- ADHD 아동의 사회성기술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벤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연역추론 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 위험아동,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아동, 일반아동 간의 행동적 특성 비교
-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분석
- ADHD 남아의 교사지지와 또래지지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