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HD 남아의 교사지지와 또래지지에 대한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Perception of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in Boys With ADHD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미아 권미지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남아가 인식하는 교사와 또래지지 수준을 알아봄과 동시에 이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부산․경남의 초등학교 3-6학년에 재학 중이면서 ADHD로 진단받은 남아 119명과 아동의 어머니 119명이다. ADHD 남아가 인식하는 교사지지와 또래지지 수준과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ADHD 남아들은 학급에서 교사나 또래로부터 긍정적인 지원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ADHD 남아가 인식하는 또래지지와 교사지지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라 ADHD 남아가 인식하는 교사지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또래지지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3학년 ADHD 남아들은 4학년이나 6학년 아동들에 비해 교사로부터 지지를 덜 받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자녀의 ADHD를 담임교사에게 공개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ADHD 남아들이 교사로부터 더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였지만 또래로부터의 지지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전업주부인 어머니를 둔 ADHD 남아의 경우가 직장을 가진 어머니를 둔 ADHD 남아에 비해 교사로부터 더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였지만 또래지지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eer support and teacher in children with ADHD. The Participants were 119 boys(3-6th grade) with ADHD and their mothers. Mothers were obtained general demographic informations. Teacher and peer support were measured with Classroom Climate Scale rated by the children with ADHD. These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frequency and mean using SPSS WIN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boys with ADHD gave negative reports with regard to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Second, emotional peer support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eacher support. Third,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were found in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boys with ADHD, but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peer support perceived by them. The 3th graders obtained the lowest scores for teacher support. Forth, we found that the boys who the teacher knew that student was ADHD perceived positively teacher support more than boys who the teacher didn't know. Fifth, the boys of a full-time homemaker perceived positively teacher support more than the boys of employed mot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과 학교환경변인의 영향
- 활동매트릭스를 활용한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운동능력 및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중증 자폐성장애 학생의 자해 행동, 자리이탈 행동, 자위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의 동음이의어 이해 특성 연구
-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Korean Cued Speech 3.0)의 구조적 타당성
-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의 인식
- ADHD 아동의 사회성기술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벤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연역추론 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 위험아동,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아동, 일반아동 간의 행동적 특성 비교
-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분석
- ADHD 남아의 교사지지와 또래지지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