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Awareness of Special School Teachers on UDL Applic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한경근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83~10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업 성취 수준이나 선호하는 학습 양식 등의 다양성이 존재하는 장애학생들이 학습하는 특수학교에서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에 부응하는 방법으로서 보편적 학습설계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특수학교 교사 131명을 대상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학교 교사들은 특수학교 학생 간 개인차의 정도에 대해 매우 큰 편으로 인식하고 있다. 개인차가 존재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장애 정도의 다양성, 학업 성취 수준의 다양성, 장애 유형의 다양성, 교과에 대한 흥미 및 선호도의 다양성 등의 순으로 언급하였다. 둘째, 특수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들의 다양성을 특히 고려해야 하는 교과는 수학, 국어, 사회, 과학과 체육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하위 영역별로는 다양한 내용제시 방법 제공, 다양한 참여 방법 제공, 다양한 표현 방법 제공의 순이었다. 이에 대한 학교급별과 장애영역에 따른 학교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수학교 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인식과 효과적인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의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ossibilities of implementing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special school settings in which the national basic curriculum was adopted. A total of 131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ross seven different special schools were surveyed. The survey questionnaire asked to see if there were subject areas specifically considered individual differences. Participants’ awareness on UDL application when teaching subject areas were also ask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all of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re were great deal of interpersonal differences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diversities regarding the types and levels of disabilities were the main reasons for interpersonal differences when delivering subject area instruction. Second, Math, Korean, Social Studies, Science, and P.E. were identified accordingly as subject areas that needed to consider the diversities of students. Third, the UDL principles were perceived highly necessary in overall subject area instruction.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the types and levels of participant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ways to implement UDL principles in special school settings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경근. (2014).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6 (4), 83-102

MLA

한경근.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6.4(2014): 83-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