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에 대한 인식과 수어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

이용수  0

영문명
A Survey on Deaf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KSL Competence and Request of Improving KSL Competence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최상배 이한나 이종민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1호, 119~14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에 대한 인식과 수어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청각장애학교 11개교의 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 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자신의 수어능력은 5점 중에서 3.51 정도로 인식하여 중앙치(3.00)보다는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나, 교사 스스로 수어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는 아니었다. 둘째, 실제로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수업을 할 때 수어능력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느끼는 정도는 5점 중에서 3.79로 나타나, 수어능력 부족으로 수업과 생활지도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약 71%의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수준의 수어능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와 노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수어능력 향상을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정도는 5점 중에서 4.00점이었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자신의 수어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방법으로는 학교에서 시행하는 수어 연수 참석, 학교 외부 기관 연수 참석, 농인과 정기적으로 만남 순이었다. 셋째, 수어 연수를 진행할 때 한 반의 연수 적정 인원은 20명 이하가 가장 많았고, 직무연수 운영 방안으로는 온라인 연수, 온라인과 출석연수 결합, 출석연수 순이었다. 넷째, 유치원과 초등교사는 부모와 상담하기 위하여 수어능력이 필요하며, 연수 강사는 수어통역사가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한 반면, 중등교사는 수업 진행과 학생 상담을 위하여 수어능력이 필요하며, 연수 강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가장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어 연수를 실시하고 수어능력을 평가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a) to examine the awareness of Korean sign language competence of teachers of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and (b) to examine perceptions of promoting their skills in sign language. Two hundred and seventeen teachers of deaf students from eleven schools for the deaf responded to a survey on their self-reported sign language skills to instruct deaf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In the measurement using 5 Likert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ir competence in sign language was slightly high (M=3.51 out of 5). But interestingly, most of teachers find difficult and intimidating explaining certain ideas using sign language to instruct deaf students due to their lack of language skills in sign language (M=3.79 out of 5). Finally, approximately 71% indicated that they needed to possess fluent sign language skills to instruct deaf students. With regard to the efforts to improve their sign language skills, first, the scale on their own efforts was 4.00, second, their effort methods were attendances sign language training in school and, institutions, and regular meetings with Deaf person orderly, and third, proper number of persons attending in one class were less than 20 and management method of training were on-line, blended on-line and gathering and gathering in ord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상배,이한나,이종민. (2016).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에 대한 인식과 수어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8 (1), 119-144

MLA

최상배,이한나,이종민.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에 대한 인식과 수어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8.1(2016): 119-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