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유아들의 학습준비도에 관한 중재연구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Interventions for Increasing Academic School Readines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민경 박유정 김병건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1호, 281~30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유아를 대상으로 한 국내 기초학습 중재연구의 특성과 동향을 알아보고 기초학습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된 중재들의 특성과 교수·학습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선행연구 포함/제외 근거에 따라 총 13편의 국내 학술논문이 그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연구대상, 중재환경, 중재 회기 빈도, 중재자, 연구 설계, 종속변인, 중재 요소 등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6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대다수의 중재가 교사에 의해 유아가 재학 중인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졌다. 중재 회기 빈도는 대체로 다양한 양상을 보였으며 15회기 이상 회기로 이루어진 연구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연구 설계는 주로 단일대상연구가 사용되었고 대부분의 중재가 읽기능력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중재 제공에서 언어적 촉진과 연습의 기회는 다수의 연구에서 실시된 것으로 보고된 반면, 강화, 교사의 시범, 놀이 관련 활동 등은 비교적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문헌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유아를 위한 기초학습능력 중재연구 및 실제에 대해 논의․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review is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designed to improve academic school readines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ose at risk for disabilities. A total of 13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participants, settings, number of sessions, interventionist, research design, dependent variable, and instructional components. The results indicated as follows: First, most of subjects were 4-6 year-old young children, and most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he number of sessions was varied; the majority of studies included more than 15 sessions. Single-case design was widely used and most studies examined reading skills as a dependent variable. Verbal prompting and opportunities to practice were included in majority of the studies reviewed; however, few studies included reinforcements, modeling, and play-related activitie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ults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보육시설 원장의 태도 유형 분석
- Effects of the Mirror Instruction on the Improvement of Generalized Imitation with Visual-Perspective-Taking for Kindergarteners with ASD
-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유아들의 학습준비도에 관한 중재연구 고찰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교육과정 적용에 대해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구성요인 구조모형 분석
- 치료놀이를 활용한 프로그램 효과
-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에 대한 인식과 수어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
- 장애인의 행복에 관한 직업재활사의 인식
- 정보통신활용 교과에서 PBL 모형이 장애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 러닝 기반의 언어경험접근법이 중등도 지적장애학생의 직무 관련 어휘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관련 이미지를 포함하는 학급환경 구성에 대한 예비연구
- 정신지체학생의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운영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 국내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및 성과분석
-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연구 접근 관점 고찰
- 통합교육 실태 문헌 분석
- 부산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