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Teachers’ Perception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in Busa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혜리 김영미 정성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1호, 201~2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부산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자립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총 68명의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 실행도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나 하위 문항 중 전담인력배치로 인한 업무 부담 경감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행・재정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직업위탁교육기관 및 연계기관에서 실시되는 지원에 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하위 문항 중 직업위탁교육기관과 연계기관 수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낮아 이에 대한 실태 파악 및 시설 확충이 요구되었다. 셋째, 성공적인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요인에 대한 중요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하위 문항 중 직업위탁교육기관 및 지역사회 연계기관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관련기관에 대한 역할 재정립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ed at presenting the ways for systematic and effectiv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of a special class in a high school for successful self-reli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in Busan. For the attainment of the study’s goal, 67 teachers in special classes in general high school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The follow results were achieved through the survey. Frist, the teachers’ perception level on performance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was generally normal, but “Redu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 load by individual placement of workers in charge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detailed questions was low level. Therefore,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it was needed.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support of commissioned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or linked agencies was generally normal, but “The number of sufficient vocational commissioned education institutions or related organizations” in detailed questions was low level. Therefore, identifying real condition and expanding facilities for it was needed. Third, the importance on factors needed for the successful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was generally normal. Especially, the teachers think “Roles of vocational commissioned education institutions or related organizations” in detailed questions was relatively important, so the reestablishment of the roles was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보육시설 원장의 태도 유형 분석
- Effects of the Mirror Instruction on the Improvement of Generalized Imitation with Visual-Perspective-Taking for Kindergarteners with ASD
-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유아들의 학습준비도에 관한 중재연구 고찰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교육과정 적용에 대해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구성요인 구조모형 분석
- 치료놀이를 활용한 프로그램 효과
-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에 대한 인식과 수어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
- 장애인의 행복에 관한 직업재활사의 인식
- 정보통신활용 교과에서 PBL 모형이 장애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 러닝 기반의 언어경험접근법이 중등도 지적장애학생의 직무 관련 어휘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관련 이미지를 포함하는 학급환경 구성에 대한 예비연구
- 정신지체학생의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운영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 국내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및 성과분석
-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연구 접근 관점 고찰
- 통합교육 실태 문헌 분석
- 부산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