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관련 이미지를 포함하는 학급환경 구성에 대한 예비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Pilot Study on Represent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Classroom Environments: Based on Head Start programs in the U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유선영 이효정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1호, 99~11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통합학급에서의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위한 한 방법으로 연구자들은 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실 환경 안에 장애와 관련된 이미지와 내용을 적절하게 포함할 것을 제시해왔다. 그러나 통합교육 교실의 환경구성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이러한 교실환경을 분석하는데 이용되는 연구방법에 대한 정보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의 헤드스타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통합된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장애관련 이미지와 내용들을 교실환경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포함하고 있는지를 Inventory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DR)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미국의 통합된 유아교육 현장은 선행연구에 비해 더 많은 장애관련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실마다 그 편차가 매우 컸으며, 교육과정 안에 장애관련 이미지나 내용이 포함되었다고 보고한 교사들과의 면담 결과 이러한 교실 역시 장애와 관련된 내용을 직접 포함하기보다는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서로 다른 또래와의 바람직한 상호작용 방법을 교수하는 한 방법으로 장애를 다루고 있었다. 교실은 단순한 물리적 장소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아동들은 교실 환경을 탐색하고 그 안에서 상호작용하면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 나간다. 따라서 이러한 통합교실의 환경 구성을 위해 지속적인 추후 연구의 필요성과 현장 교사들을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영문 초록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reported as the world’s most stigmatized and excluded populations because of limited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people with disabilities. One example of exclusion, which may contribute to negative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is the lack of representation in print and visual media, curriculum and materials used with children in educational settings. Given the increasing numb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ducated in inclusive classrooms, the persistent under-representation of disabilities in educational settings is notable and alarm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Head Start classrooms in the US and to introduce a use of the survey, Inventory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IDR) in educational settings of Korea. Details about teachers’ responses on each item of the surveys are describ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educational setting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선영,이효정. (2016).장애관련 이미지를 포함하는 학급환경 구성에 대한 예비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8 (1), 99-118

MLA

유선영,이효정. "장애관련 이미지를 포함하는 학급환경 구성에 대한 예비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8.1(2016): 99-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