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교육 실태 문헌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literature review of Inclusive Education Studies: Focusing on the legal policy element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경양 박은혜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1호, 171~19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교육 실태를 살펴본 선행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지금까지의 통합교육 실태와 향후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정기준에 맞는 3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첫째, ‘장애인 등의 특수교육법’이 제정된 시기에는 통합교육 실태에 대해 보고한 연구들이 다른 해에 비하여 많았으나, 이후에는 연평균 2편 정도의 실태 연구만 보고되고 있었다. 둘째, 실태 연구의 대부분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중등 또는 고등학교의 실태 조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셋째, 법령에 명시된 정책 요소가 구현되는지 6가지 분석틀에 근거하여 살펴본 결과, 특정 장애 유형의 쏠림 현상, 교원의 자질 및 교육 부족, 개별화 교육의 구현의 형식성, 특수교육 교원와 일반교육 교원의 생각의 차이, 교육 목적의 차이, 수정의 현실적 제약과 어려움, 학교장의 인식의 중요성, 보조인력의 역할의 모호함,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합교육 준비 부족, 교사 간 협력과 자문 부족, 시설 및 교재의 부족 등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향후 통합교육의 향상을 위해 고려해야하는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lusion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inclusive education policy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 on inclusive education. Thirty three stud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studies regarding inclusive education status has been reduced steadily after first a few years around the law enactment. Second, most of the research was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lacking studies focusing on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inclusion. Third, analysis based on the inclusion policy components, revealed too much focus on intellectual disability, lack of teacher preparation, perfunctory use of IEP, difference between general educators and special educators’ perception and educational goal, practical barriers and difficultie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lack of preparation for regular students, lack of collaboration and consultation between teachers, ambiguity of paraprofessionals’ role, lack of facilitie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findings and discussions regard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nclusive education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양,박은혜. (2016).통합교육 실태 문헌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8 (1), 171-199

MLA

김경양,박은혜. "통합교육 실태 문헌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8.1(2016): 171-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