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교육과정 적용에 대해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구성요인 구조모형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Analysis on Structural Factors of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 Hearing Impaired Stud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성규 김정규 구명성 김동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1호, 351~3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특수교사 274명의 설문지를 자료처리하였다.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및 t 검증, 그리고 탐색적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특수교사들이 인식하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네 개의 요인, 즉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용의 용이성, 특수교육 교육과정 교과내용 충실성, 청각장애학생의 특수성 고려, 그리고 공통 교육과정 적용의 당위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청각장애학생에게 적용시키는 것에 대하여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네 구성요인 중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은 특수성 요인을 제외하고는 배경변인별에 따라서 차별성을 보인다. 둘째,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용의 구성요인은 독립적으로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으나, 다른 요인과 경로 설명력이 없거나 필요조건에 한정한다. 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바람직한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체제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factors of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curriculum with special education for appli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 274 special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Frequency, t-test,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tilized with SPSS and AMOS programs for this study. The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appli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ere consisted with four factors such as facility, substantiality, rationale, and speci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appli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ere positive relatively. However except the speciality factor, the three fact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ecial teachers’ backgrounds; and (b) the factors of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appli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ere stability independently, however the factors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other factors. This study suggested that how to make the factors with explanatory relationship i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appli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보육시설 원장의 태도 유형 분석
- Effects of the Mirror Instruction on the Improvement of Generalized Imitation with Visual-Perspective-Taking for Kindergarteners with ASD
-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유아들의 학습준비도에 관한 중재연구 고찰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교육과정 적용에 대해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구성요인 구조모형 분석
- 치료놀이를 활용한 프로그램 효과
-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능력에 대한 인식과 수어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
- 장애인의 행복에 관한 직업재활사의 인식
- 정보통신활용 교과에서 PBL 모형이 장애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 러닝 기반의 언어경험접근법이 중등도 지적장애학생의 직무 관련 어휘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장애관련 이미지를 포함하는 학급환경 구성에 대한 예비연구
- 정신지체학생의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운영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 국내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및 성과분석
- 지적장애인의 삶의 질 연구 접근 관점 고찰
- 통합교육 실태 문헌 분석
- 부산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