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nge in Arabic Verb Dominance
- 발행기관
-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 저자명
- 이인섭(Inseop Lee)
- 간행물 정보
- 『아랍어와 아랍문학』29집 2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research revisits the article “A Study on the Valency of Arabic Verb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1999), with the aim of correcting its errors, addressing its shortcomings, and supplementing its arguments.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the shifts in dominance that determine verb valency. The study argues that distributionalism alone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changes in verb forms and syntactic structures within a sentence. Therefore, a proper analysis of Arabic sentences requires a clear understanding of both the structural and semantic properties of verbs.
This research examines how verb valency varies according to the dominance relations among sentence constituents. Even when a verb maintains the same form, its dominance may differ depending on whether a preposition is added or omitted. Such variation is attributable to the lexical capacity of verbs to allow al-taḍmīn (“inclusion of another meaning”) or to accept changes in word order.
When a transitive verb is used with a meaning other than its original one, a preposition may be added according to its sense, which can result in its surface appearance as intransitive. Similarly, when a change in word order weakens the dominance of the verb, a transitive verb may function as though it were intransitive. Conversely, an intransitive verb can also take on transitive usage, either because of its polysemous semantic features or due to al-taḍmīn.
It should be noted that al-taḍmīn applies in both directions: when a transitive verb functions intransitively and when an intransitive verb functions transitively. To explain the latter, this research adopts the concept of an “accusative with omitted preposition.” Intransitive-to-transitive usage appears, for example, when a possessive suffix pronoun following a preposition functions as a direct object, or when verbs such as “enter”, “live”, and “pass by” precede non-derived place nouns. It can also arise when the preposition before the complementizers أَنَّ and أَنْ is omitted. However, when such omission would lead to ambiguity, the preposition is retained. The phenomenon of the “accusative with omitted preposition” likewise occurs when verbs have polysemous meaning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아랍어에서 지배력 해석 방법
Ⅲ. 동사의 지배력 변화
Ⅳ. 타동사의 자동사화
Ⅴ. 자동사의 타동사화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시대 아랍어 듣기 교육 도구로서 음성합성기술(TTS: Text to Speech)의 적용 가능성 연구
- 아랍 세계의 근대화와 아랍어 부흥 운동
- 아랍어 동사 지배력 변화에 관한 연구
- 아랍어의 존재론적 은유 연구 - 코란 구절을 중심으로
- 의료 담화의 한국어-아랍어 기계번역의 가용성과 한계
- 학부번역전공자의 챗GPT 활용 아-한 포스트에디팅 인식 연구 - 비문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 이라크 소설에 나타난 종교적 소수자의 삶과 현실: 시난 안툰과 와리드 바드르 알살림의 소설을 중심으로
- 유튜브 동화 채널의 영어-한국어, 영어-아랍어 제목 번역 전략 비교
- <오징어 게임> 시즌 2 아랍어 번역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자막과 더빙 분석을 통해
- أضواء على تركيب الإضافة في العربية الكلاسيكية والحديثة- دراسة تتبعية لثلاث ظواهر تركيبية
- 군사 목적 아랍어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 적용 가능성과 한계 - ChatGPT를 중심으로
- دَوْرُ الاسْتِفْهَامِ الْبَلَاغِيِّ فِي التَّحْرِيضِ الثَّوْرِيِّ عِنْدَ غَسَّانَ كَنَفَانِيٍّ (رِجَالٌ فِي الشَّمْسِ، مَا تَبَقَّى لَكُمْ، عَائِدٌ إِلَى حَيْفَا) دِرَاسَةٌ أُسْلُوبِيَّةٌ
- تأثير ظاهرة تعدد الأوجه الإعرابية في إطار تعليم اللغة العربية لغير الناطقين بالعربي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AI 시대 아랍어 듣기 교육 도구로서 음성합성기술(TTS: Text to Speech)의 적용 가능성 연구
- 아랍 세계의 근대화와 아랍어 부흥 운동
- 아랍어 동사 지배력 변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