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odernization of the Arab World & Revival Movement of Arabic Language
- 발행기관
-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 저자명
- 최진영(Jin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아랍어와 아랍문학』29집 2호, 27~6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rnization of the Arab world and the revival movement of the Arabic language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study begins with the transformative impact of Napoleon’s expedition to Egypt in 1798, which triggered a wave of intellectual awakening by introducing European sciences, technology, and enlightenment ideas. Muhammad Ali Pasha, a pivotal reformist figure, institutionalized modernization through translation projects, educational missions to Europe, and the promotion of Arabic over Ottoman Turkish.
The introduction of the printing press in the Arab world further accelerated the diffusion of knowledge. Cities like Cairo, Beirut, and Damascus became publishing hubs, enabling broader access to scientific, literary, and political discourse. Arabic periodicals, novels, and translations flourished creating a foundation for linguistic modernization and national awareness.
A central theme of the paper is the Nahḍah (Arab Renaissance), a movement driven by reformist intellectuals such as al-Tahtawi, al-Bustani, al-Afghani, and Muhammad Abduh. These thinkers advocated a balanced approach: embracing Western advancements while reviving Islamic values and Arabic linguistic heritage. The Nahḍah paved the way for modern Arab nationalism and cultural reforms.
The study also examines colonial linguistic policies. British and French authorities sought to marginalize Arabic through strategies like promoting dialects or enforcing French as the sole instructional language. In response, Arab intellectuals and activists across Egypt, the Levant, and North Africa pushed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Arabic in education, law, and government.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establishment of language academies, such as the Arabic Language Academy in Cairo (1932), which aimed to coin new Arabic terms in scientific fields and standardize grammar. Despite challenges—including internal linguistic fragmentation and resistance from colonial powers—these efforts laid the groundwork for Arabic’s modernization.
In conclusion, the paper highlights how the revival of the Arabic language was both a cultural necessity and a political act of resistance against colonial domination. Whether through Islam-oriented reformism or secular Arab nationalism, the revival of Arabic language was perceived as a key tool for self-assertion, identity formation, and modernization across the Arab worl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아랍 세계의 근대화
Ⅲ. 아랍어 부흥 운동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시대 아랍어 듣기 교육 도구로서 음성합성기술(TTS: Text to Speech)의 적용 가능성 연구
- 아랍 세계의 근대화와 아랍어 부흥 운동
- 아랍어 동사 지배력 변화에 관한 연구
- 아랍어의 존재론적 은유 연구 - 코란 구절을 중심으로
- 의료 담화의 한국어-아랍어 기계번역의 가용성과 한계
- 학부번역전공자의 챗GPT 활용 아-한 포스트에디팅 인식 연구 - 비문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 이라크 소설에 나타난 종교적 소수자의 삶과 현실: 시난 안툰과 와리드 바드르 알살림의 소설을 중심으로
- 유튜브 동화 채널의 영어-한국어, 영어-아랍어 제목 번역 전략 비교
- <오징어 게임> 시즌 2 아랍어 번역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자막과 더빙 분석을 통해
- أضواء على تركيب الإضافة في العربية الكلاسيكية والحديثة- دراسة تتبعية لثلاث ظواهر تركيبية
- 군사 목적 아랍어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 적용 가능성과 한계 - ChatGPT를 중심으로
- دَوْرُ الاسْتِفْهَامِ الْبَلَاغِيِّ فِي التَّحْرِيضِ الثَّوْرِيِّ عِنْدَ غَسَّانَ كَنَفَانِيٍّ (رِجَالٌ فِي الشَّمْسِ، مَا تَبَقَّى لَكُمْ، عَائِدٌ إِلَى حَيْفَا) دِرَاسَةٌ أُسْلُوبِيَّةٌ
- تأثير ظاهرة تعدد الأوجه الإعرابية في إطار تعليم اللغة العربية لغير الناطقين بالعربي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AI 시대 아랍어 듣기 교육 도구로서 음성합성기술(TTS: Text to Speech)의 적용 가능성 연구
- 아랍 세계의 근대화와 아랍어 부흥 운동
- 아랍어 동사 지배력 변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