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세기 초 전기문학 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A Study on Biographical Litera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with a Focus on the Newspapers and Books Published in the State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실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7호, 517~54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애국계몽기는 언론과 문학의 창작 주체인 지식인들 다수가 해외 망명이 불가피하였고 동일 인물이 조선이라는 지역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창작 활동을 벌이던 시대였다. 특히 미주 지역의 신문인 <신한국보>와 <신한민보>는 광무 신문지법이 발효된 뒤에도 국내 언론과 달리 정치적인 사안들에 대해 자유롭고 강경한 태도를 견지하였다. <신한국보>와 <신한민보>의 여러 서사물 가운데 전기문학은 애국계몽기 문학의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는데, 그 양상은 국내에서 발표된 전기문학이 전재되거나 요약되는 형태, 국내 발표의 동일한 저본을 두고 독자적인 국문 번역이 시도된 형태, 또는 단행본 전기가 출판된 형태 등 다양하다. 특히 신한민보사 발행의 <양의사합전>과 신한국보사 발행의 <대동위인안중근전>은 장인환, 전명운 의사의 스티븐스 저격 사건과 안중근 의사의 의거가 일어난 직후 단행본으로 출판된 것으로 전기 뒤에 의사들을 위한 의연금 모집에 참여한 미주 한인들의 명단을 부록으로 넣은 편집 체제가 독특하다. 이런 편집 체제는 의사들의 의거에 미주 노동 이민자들이 의연 모금으로 동참한 것을 기념함으로써 의사들의 전기가 동시대 민족 운동의 구심점이 되도록 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United Korean News(新韓國報) and The New Korea(新韓民報) were published by the Korean immigrants in Hawaii and San Fransisco repectively in the first decade of 20th century. Here biographical literature was introduced to promote the idea of patriotic enlightenment to save Korea from Japan. Biography booklets, Two Patriots Biography(兩義士合傳), 1909 and Biography of Anjunggeun, the Great Patriot of the East(大東偉人安重根傳), 1911 were published by these two newspapers, with the appendix of the list of donors and their donations. This compilation of bioghrapy and the list of donors is unique, and it shows how Korean immigrants recognized literature in terms of the tool to enlighten themselves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liberation movement of Korea by placing their names next to the great patriots. Other than these two biography booklets, there are a lot of pieces of biographical literature in The United Korean News(新韓國報) and The New Korea(新韓民報), which are needed to be examined with a comparison of contemporary works of biography published in Korea.
목차
1. 20세기 초 미주에서 발행된 신문
2. 국내 전기물의 연속과 확장
3. 전기집의 출간: <량의사합뎐>과 <大東偉人安重根傳>
4. 민족운동의 구심으로서의 전기문학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 양상
- 한국어의 가능성 표현에 대한 연구
- 텍스트 갈래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를 통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탈동기화 요인 연구
-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 20세기 초 전기문학 연구
- ‘NP-으로 V’ 구성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유형
-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 중국 조선족 중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에 대한생태 언어학적 요인 분석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양상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계열성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 조사
-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Romey 분석법을 활용한 국어교과서의 탐구 경향 탐색
- Written-Spoken Knowledgefor L2 Learners to Read Korean
-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간의 접합성 분석
-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 분석
- 20세기 전반기 소설과 신문 자료에 드러나는 서술자의 역할과 관점의 차이 그리고 문체의 변화
-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