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이용수 41
- 영문명
- Correlational Analyses between the Constructs of Affective Instruments for the Investigation of Affective Features of Digital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종윤 서수현 옥현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7호, 37~6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여 디지털 문식성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과 관련이 있는 다섯 가지 평가도구를 선별하고, 그중 하나인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를 중심으로 각 도구의 구인 간의 관계성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우선 인쇄매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과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으나 그 상관관계가 높지는 않았다. 이 결과는 디지털 문식성 교육을 위해서는 기존 국어과 교육과정의 ‘태도’ 범주에서 다루어 온 교육 내용과 구별된 새로운 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 디지털 문식성과 관련하여 교육의 내용으로 다루고자 하는 정의적 특성은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태도를 가리키며, 이는 인터넷 중독과 같은 부정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간에 논리적인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디지털 문식성에 대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기를 촉구하였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in the futu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eature of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as a way to stimulate the education of digital literacy. Five assessment tools which were related to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including Digital Literacy Attitude assessment(DLA), were chosen and correlation among them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Print Literacy Attitude(PL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not highly correlated. It indicates a separate educational content focusing on digital literacy attitude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prepar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no correlation between DLA and the Internet addiction. It indicates Digital Literacy Attitude is a different construct from a negative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such as addiction, plagiarism, violation of privacy and so on and it can work as a basis of the education of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Finally, further research on the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was suggested.
목차
1. 서론
2. 평가도구 개관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 양상
- 한국어의 가능성 표현에 대한 연구
- 텍스트 갈래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를 통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탈동기화 요인 연구
-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 20세기 초 전기문학 연구
- ‘NP-으로 V’ 구성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유형
-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 중국 조선족 중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에 대한생태 언어학적 요인 분석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양상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계열성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 조사
-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Romey 분석법을 활용한 국어교과서의 탐구 경향 탐색
- Written-Spoken Knowledgefor L2 Learners to Read Korean
-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간의 접합성 분석
-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 분석
- 20세기 전반기 소설과 신문 자료에 드러나는 서술자의 역할과 관점의 차이 그리고 문체의 변화
-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