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 양상
이용수 44
- 영문명
- The Aspect of Using Strategies for Leaning to Speak Korean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7호, 345~3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전략의 사용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말하기 학습 전략들을 상세히 규명함으로써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올바른 전략 교육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재,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말하기 영역을 학습하면서 어떤 학습 전략들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의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양상을 다각도로 살펴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어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별에 따라 ‘매체 활용 전략’의 사용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 기간에 따른 말하기 학습 전략은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능력시험의 급수의 기준을 4급으로 정해 두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자기 주도적 학습 요인’에 해당하는 전략 5가 유의미한 차이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학업 성취도를 기준으로 삼아, 70점 기준과 80점 기준을 살핀 결과, 학습 전략의 사용 범위가 더욱 확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aspect of Korean learners’ strategies for learning to speak. By clarifying strategies for learning to speak that are used by learners in detail, it will be possible to search a proper direction for educat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speaking skills of Korean. As the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skill is increasing, it is important to find out what learning strategies are used when learners of Korean learn to speak Korean.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 of using speaking strategies of Korean learners.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 see what difference is caused due to gender, learning period, grade of TOPIK,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 showed that different genders used different ‘strategies of using media’. Learning strategies did not differ depending on learning period. When setting the standard for TOPIK grade at grade 4 and reviewed learners’ strategies, strategy 5, which refers to ‘the el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difference in the strategies of learning to speak depending on academic achievement was examined depending on various criteria of marks. When the comparison was made with the criteria of mark 70 and 80, it was found that the range of learning strategies expanded greatly. When more studies are conducted with increased number of subjects and strategies, strategies of learning to speak will be found in more detail.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 양상
- 한국어의 가능성 표현에 대한 연구
- 텍스트 갈래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를 통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탈동기화 요인 연구
-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 20세기 초 전기문학 연구
- ‘NP-으로 V’ 구성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유형
-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 중국 조선족 중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에 대한생태 언어학적 요인 분석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양상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계열성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 조사
-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Romey 분석법을 활용한 국어교과서의 탐구 경향 탐색
- Written-Spoken Knowledgefor L2 Learners to Read Korean
-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간의 접합성 분석
-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 분석
- 20세기 전반기 소설과 신문 자료에 드러나는 서술자의 역할과 관점의 차이 그리고 문체의 변화
-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