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 조사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mmediac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민영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7호, 459~48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가 학습자와의 친근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친근성 행동을 측정하고 친근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들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Gorham(1988)과 Hinkel(1988)의 친근성 행동 척도를 사용하였고 서울 소재 3곳의 한국어 기관에 근무하는 8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3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교사들의 친근성 행동 점수는 5점 척도 기준으로 3.63의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언어적 친근성 행동보다는 비언어적 친근성 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자 교사가 여자 교사보다 친근성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 경력이 높을수록, 가르치는 급이 높을수록, 친근성 행동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 변인들 중에서 경력과 가르치는 급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mmediacy and to decide relevant factors of Korean language teacher. This paper employed Gorham(1988)’s verbal immediacy and Hinkel(1988)’s CARNIM to measure the teacher immediacy. Questionnaires and surveys were conducted from 82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3 weeks in three colleges. The SPSS statistic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mmediacy is 3.63 out of 5 and nonverbal immediacy is higher than individual friendliness, flexibility during lecture, fellowship and male, higher level, more experienced teacher show higher immediacy than others. Statistically speaking, teacher’s experiences and levels have meaningful connection with teacher immediacy.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 양상
- 한국어의 가능성 표현에 대한 연구
- 텍스트 갈래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를 통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탈동기화 요인 연구
-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 20세기 초 전기문학 연구
- ‘NP-으로 V’ 구성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유형
-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 중국 조선족 중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에 대한생태 언어학적 요인 분석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양상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계열성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 조사
-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Romey 분석법을 활용한 국어교과서의 탐구 경향 탐색
- Written-Spoken Knowledgefor L2 Learners to Read Korean
-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간의 접합성 분석
-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 분석
- 20세기 전반기 소설과 신문 자료에 드러나는 서술자의 역할과 관점의 차이 그리고 문체의 변화
-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