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갈래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를 통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Writing based on Text Grammar with Process - oriented Instruction - Focused on Expository Text -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은 이병규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7호, 7~3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텍스트 갈래 지식의 지도와 과정 중심 쓰기 지도를 통합하여 설명문 쓰기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글을 활용한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개별 텍스트 갈래에 대한 명제적 지식뿐만 아니라 글쓰기 과정에 대한 지식 즉 지식과 기능을 통합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의에서는 설명문을 중심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텍스트 갈래에 대한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를 통합하여 설명문 쓰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명문 쓰기 지도의 세 가지 원리를 제안하고 그 원리에 따라 텍스트 갈래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가 통합된 설명문 쓰기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자 한다. 나아가 구안한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적용 가능한 설명문 쓰기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적용한 후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make teaching methods of expository text writing based on text grammar with process-oriented instruction and demonstrate their effectiveness. It is effective that learning text grammar and process-oriented writing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So we are suggest the teaching- and-learning model integrated text grammar regarding the expository text and writing process for helping student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using expository text. We established the three principles needed when teaching how to write expository text. And we make guidance model for teaching how to write expository text integrated text grammar and writing process. In addition, we make a program based on the guidance model and teach students. And we evaluated the expository texts written by the students for demonstrate the effect of this program.
목차
1. 머리말
2. 설명문 쓰기 지도의 원리와 교수학습 모형
3. 설명문 쓰기 지도 계획 및 교수 학습의 실제
4. 결과 분석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 양상
- 한국어의 가능성 표현에 대한 연구
- 텍스트 갈래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를 통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탈동기화 요인 연구
-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 20세기 초 전기문학 연구
- ‘NP-으로 V’ 구성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유형
-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 중국 조선족 중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에 대한생태 언어학적 요인 분석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양상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계열성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 조사
-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Romey 분석법을 활용한 국어교과서의 탐구 경향 탐색
- Written-Spoken Knowledgefor L2 Learners to Read Korean
-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간의 접합성 분석
-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 분석
- 20세기 전반기 소설과 신문 자료에 드러나는 서술자의 역할과 관점의 차이 그리고 문체의 변화
-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