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이용수 23
- 영문명
- Use of Metalanguage in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Focused on the Meaning Description of Passive and Indirect Quot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7호, 433~45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메타언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나서 메타언어의 사용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서 우선 한국어 교재에서의 메타언어 쓰임을 조사한다. 그리고 교사들의 교수 언어 특히 교사의 문법에 대한 설명인 메타언어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도 조사한다.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피동과 간접인용의 의미 기술을 조사한 결과, 피동과 간접인용의 메타언어가 교재별, 교사별로 다르게 제시되고 있으며 의미 기술에 있어서 그 내용과 범위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를 비교해 봤을 때, 교수 언어에서 교사들은 문법 용어를 잘 사용하지 않았으며 피동에 대한 교수 언어가 좀 미흡한 반면에 간접인용에 대한 교수 언어는 교재에 비해 그 의미 기술이 자세하게 표현되었다. 교육 현장 특히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타언어의 쓰임과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에 관한 의미 기술 및 메타언어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grammar metalanguage in Korean coursebooks afte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metalanguage by reviewing its definition in advanced research studie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survey the grammar metalanguage expressed by teaching language using a questionnaire. By analyzing the meaning description of passive and indirect quotations both in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the study finds the followings: Grammar metalanguage is not presented similarly in both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It exhibits some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meaning in its scope and content but no reason exists to similarly or same meaning descriptions. Compared with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the grammatical term used in teaching language are not many. While the teaching language of passive is inadequate to describe meaning, the teaching language of indirect quotations is expressed more concretely than that of passive. This study revisits the grammar metalanguage currently prevalent in Korean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use and actual condition of grammar metalanguage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with particular focus on Korean coursebooks and teaching language. Further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formal and suitable grammar metalanguage for Korean learners by investigating and making proposal for the grammar metalanguage of passive and indirect quotations.
목차
1. 머리말
2. 메타언어 및 선행 연구의 검토
3. 메타언어의 사용 양상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 양상
- 한국어의 가능성 표현에 대한 연구
- 텍스트 갈래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를 통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탈동기화 요인 연구
-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 20세기 초 전기문학 연구
- ‘NP-으로 V’ 구성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유형
-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 중국 조선족 중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에 대한생태 언어학적 요인 분석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양상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계열성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 조사
-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Romey 분석법을 활용한 국어교과서의 탐구 경향 탐색
- Written-Spoken Knowledgefor L2 Learners to Read Korean
-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간의 접합성 분석
-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 분석
- 20세기 전반기 소설과 신문 자료에 드러나는 서술자의 역할과 관점의 차이 그리고 문체의 변화
-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