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세기 전반기 소설과 신문 자료에 드러나는 서술자의 역할과 관점의 차이 그리고 문체의 변화
이용수 16
- 영문명
- The Difference in the Roles and Perspectives of Narrators in Novels and Newspapers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the Change of Style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웅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7호, 87~1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론적 설명과 범언어론적 예시를 통해 ‘-더-’가 증거성 표지로서 기능을 벗어나는 근거가 내러티브에서 서술자가 취하는 관점의 차이에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190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의 소설과 신문 자료를 10년 주기로 나누어 조사하기로 한다. 일차적인 목표는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더-’가 사라지는 추이를 살피는 데에 있다. 더불어 신문 자료에 나타나는 ‘-더-’의 성격에 대해 재확인하는 의미가 있다. 소설과 신문의 자료 분석을 통하여 증거성 표지가 현대적 문체에 자리를 내어주는 추이를 살폈다. 또한 이희정(2007a)의 논의처럼 소설이나 신문에 나타나는 ‘-더-’를 동일한 성격의 것으로 판단할 수 없고 김미형(1998)이나 안예리(2014)의 논의처럼 ‘-다더라’로 대표되는 전언을 신문의 대표적인 문체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영문 초록
The reason that the function of ‘-te-’ as evidential marker strays from its usage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s of narrators in narratives. We inspected the corpus of newpapers and novels from 1900s through 1940s. The primary purpose of the study is that we can explain why ‘-te-’ in novels and newspaper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disappeared. We can show the reason that the roles of ‘-te-’ in the narratives have been changed in novels and newspapers.
목차
1. 머리말
2. 이론적 배경과 연구 방법
3. 서술자의 관점을 드러내는 ‘-더-’
4. 연세 20세기 말뭉치 자료의 시사점
5.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 양상
- 한국어의 가능성 표현에 대한 연구
- 텍스트 갈래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를 통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탈동기화 요인 연구
-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 20세기 초 전기문학 연구
- ‘NP-으로 V’ 구성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유형
-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 중국 조선족 중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에 대한생태 언어학적 요인 분석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양상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계열성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 조사
-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Romey 분석법을 활용한 국어교과서의 탐구 경향 탐색
- Written-Spoken Knowledgefor L2 Learners to Read Korean
-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간의 접합성 분석
-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 분석
- 20세기 전반기 소설과 신문 자료에 드러나는 서술자의 역할과 관점의 차이 그리고 문체의 변화
-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