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계열성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Analysis on Sequence of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류보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7호, 111~13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 국어과 교육과정 계열성의 적절성 평가를 목적으로 초등학교 국어과의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계열성은 학년별 교육내용의 수직적인 배열로 적정 교육 내용 수준의 학년 배치를 의미한다. 연구 방법은 30명의 초등학교 교사가 학생들의 수준에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학년군으로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재정렬하는 설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응답한 학년군을 교육과정의 학년군과 비교하여 불일치 응답수를 통해 계열성 적절도를 분석하였고, 응답 학년군이 높은 경우는 상향조정이 필요한 경우로, 응답 학년군이 낮은 경우는 하향조정이 필요한 경우로 해석하였다. 분석 결과 듣기·말하기 영역의 계열성 일치도가 낮게 나타나 계열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성취기준의 체계적 서술이 필요하였다. 계열성의 적절성이 낮은 성취기준의 수도 듣기·말하기 영역이 7개로 가장 많았고, 읽기 영역 5개, 쓰기 영역 4개로 모두 16개의 성취기준이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체계적 기술 방법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계열성을 높이기 위한 조정 과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analysis on sequence of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sequence is the principle of grade placement for the hierarchy arrangement of contents. Research method is the questionary method that 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swered rearranged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ccording to grade of students. This study analysed the appropriateness of sequence by comparing answered grade with grade of curriculum. The result is that conformity degree of sequence is lowest in the listening and speech curriculum so systematic description is needed. The numbers of low appropriateness of sequence is 7 standards of the listening and speech curriculum, 5 standards of the reading curriculum and 4 standards of the writing curriculum. So adjustment of curriculum for the sequence is needed in 16 standards. It is necessary that systematic description of curriculum and adjustment of curriculum for the sequence.
목차
1. 서론
2. 교육과정의 체계성과 계열성
3. 연구 방법
4. 국어과 교육과정의 계열성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 양상
- 한국어의 가능성 표현에 대한 연구
- 텍스트 갈래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를 통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탈동기화 요인 연구
-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 20세기 초 전기문학 연구
- ‘NP-으로 V’ 구성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유형
-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 중국 조선족 중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에 대한생태 언어학적 요인 분석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양상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계열성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 조사
-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Romey 분석법을 활용한 국어교과서의 탐구 경향 탐색
- Written-Spoken Knowledgefor L2 Learners to Read Korean
-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간의 접합성 분석
-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 분석
- 20세기 전반기 소설과 신문 자료에 드러나는 서술자의 역할과 관점의 차이 그리고 문체의 변화
-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