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조선족 중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에 대한생태 언어학적 요인 분석
이용수 6
- 영문명
- Ecolinguistic Factor Analysis on Language Us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순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7호, 317~34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중국 조선족 중학교 학생들의 언어 사용 실태에 기초하여 그에 영향 주는 요인을 생태 언어학적 시각에서 분석하여 향후 조선어 교육과 민족교육에 반영하고자 한다. 현재 중국의 중학교 학생들은 민족어 사용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생태 언어학적 관점에서 살펴볼 때 중국 조선족 중학생의 언어 선택에 영향 주는 요인은 주로 사회문화적 생태의 변화, 교육환경의 변화, 민족어에 대한 의식의 변화, 가정환경의 변화 등 여러 요인들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중학생의 언어사용에 영향 주는 이런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조선어 교육과 민족교육에서 바람직한 교육정책과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이 같은 인식을 갖고 조선족 중학생들의 우리말에 대한 조화로운 언어 인식과 언어 태도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several aspects that influence language use of Korean-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in China from an ecolinguistics perspective, in order to apply them in designing future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Currently, there exist various conditions in ethnic language us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ina. From an ecolinguistics perspective, primary factors that may influence language use of Korean-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e changes in sociocultural ecology, educational environments, attitudes toward ethnic languages, and home environments. The current paper proposes that education policy should consider these aspects when developing alternative solution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Further, this paper emphasizes that it is important for Korean-Chinese students to develop harmonious linguistic attitudes toward the Korean language
목차
1. 서론
2. 조선족 중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 현황과 분석
3. 언어 사용에 영향 주는 생태 언어학적 요인
4. 조선족 중학교 조선어 교육의 전망 및 대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 양상
- 한국어의 가능성 표현에 대한 연구
- 텍스트 갈래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를 통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탈동기화 요인 연구
-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 20세기 초 전기문학 연구
- ‘NP-으로 V’ 구성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유형
-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 중국 조선족 중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에 대한생태 언어학적 요인 분석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양상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계열성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 조사
-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Romey 분석법을 활용한 국어교과서의 탐구 경향 탐색
- Written-Spoken Knowledgefor L2 Learners to Read Korean
-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간의 접합성 분석
-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 분석
- 20세기 전반기 소설과 신문 자료에 드러나는 서술자의 역할과 관점의 차이 그리고 문체의 변화
-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