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Written-Spoken Knowledgefor L2 Learners to Read Korean
이용수 2
- 영문명
- Written-Spoken Knowledgefor L2 Learners to Read Korea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상태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7호, 297~31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written form of a language has been recognized a subsidiary to its spoken form. However, there are many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forms of a language. This can confuse L2 learners of Korean in reading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onological hierarchies corresponding to morphological hierarchies in the modern Korea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Utterances are identical with sentences which have the intonation. (2) An intonational phrase consists of one accentual phrase or more. This shows the speaker’s attitudes and emotions. (3) Accentual phrase consists of one phonological word or more. This influences the phonological phenomena and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4) A phonological word is made up of one morpheme or more. This is marked by potential pause, divisibility, and indivisibility. (4) A speech syllable is composed of phonemes. (5) A phoneme is the smallest unit of spoken language. Although this study did not fully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written and spoken language, this study probably helps L2 learners of Korean to read Korean effectively.
목차
1. Introduction
2. Phonological Hierarchies
3.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 양상
- 한국어의 가능성 표현에 대한 연구
- 텍스트 갈래 지식과 과정 중심 쓰기를 통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탈동기화 요인 연구
-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 20세기 초 전기문학 연구
- ‘NP-으로 V’ 구성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유형
- 한국어 교재와 교수 언어에서의 메타언어 쓰임
- 중국 조선족 중학교 학생의 언어 사용에 대한생태 언어학적 요인 분석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양상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계열성
- 한국어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 조사
- 핵심역량 기반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연구
- Romey 분석법을 활용한 국어교과서의 탐구 경향 탐색
- Written-Spoken Knowledgefor L2 Learners to Read Korean
-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간의 접합성 분석
-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 분석
- 20세기 전반기 소설과 신문 자료에 드러나는 서술자의 역할과 관점의 차이 그리고 문체의 변화
-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