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w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e Affect Competitive Advantage: An Evidence from Export Firms of Deadeok Innpoli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황경연(Hwang, Kyung-Yun) 성을현(Eulhyun Sung)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9권 제1호, 359~3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덕연구개발특구내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의 기술혁신능력, 기술사업화역량 및경쟁우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수출기업의 기술혁신능력과 경쟁우위간의 관계에서 기술사업화역량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모형은 기업의 기술혁신능력, 기술사업화 및 경쟁우위에 관한 기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에 기초하여 설정되었으며, 이 연구모형검증을 위해 대덕연구개발특구내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2015년 1월 5일부터 2월 4일까지 약 1개월간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103개 수출기업 자료는 PLS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기술혁신능력은 2차 구성개념으로 1차 구성개념인 학습능력, 전략계획능력, 연구개발능력, 제조능력 및 마케팅능력으로 측정되었으며, 2차구성개념인 기술사업화역량은 1차 구성개념인 상용화속도, 시장범위 및 기술너비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에서 수출기업의 기술혁신능력은 기술사업화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수출기업의 기술사업화역량은 경쟁우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수출기업의 기술혁신능력은 경쟁우위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출기업의 기술사업화역량은기술혁신능력과 경쟁우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capabilit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focusing on theexport firms in Daedeok Innopolis. In particular,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mediatingeffect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e on the nexus between a firm’s technologyinnovation capability and competitive advantage. The survey of 103 export firms was conductedfrom January 5, 2015 through February 4, 2015. Partial Least Squares analysis was applied to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structs set in the study. The commonality found in the resultsof the study is that a firm’s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its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The study also finds asolid evidence that a firm’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between its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competitive advantage while its technologycommercialization competence used as mediating variable directly affects its competitiveadvantage, indicating that the null hypothesis of the non-existence of mediation effect can berejected at the 5% significance level.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문헌연구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화폐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 미국과 EU의 무역조정지원 사례 연구 및 시사점
-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The Improvement Plan for Trade Balance in Sri Lanka: Focused on the Export Performance
- 미국과 아시아 주식시장 간의 변동성상관관계 분석
- 대학생 참여 CSR유형에 따른 기업이미지, 기업평판 및 구매의도의 영향력 분석
- An analysis on the equilibrium in the real capital market: Comparison between German and Korea
- OECD 19개 주요국가의 소득불평등 요인분석
- 탄소배출권의 효율적 투자선 및 최적 포트폴리오 구성 연구
- A Study on Return and Volatility Spillovers in Chinese Stock Market
- 연평도 꽃게 자원 최적규모 추정을 통한 종합적 관리 방안
- 중국 인터넷 쇼핑몰의 e-서비스스케이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기업들의 발생액에 의한 이익조정과 실질활동에 의한 이익조정 간의 선택에 대한 실증적 연구
- 한국 중견 전자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전략사례연구
- 중소무역기업의 uTradeHub 시스템 평가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중국 상하이자유무역시범구 운영 현황 분석
- 수출 중소기업의 네트워크와 활용 및 탐험 활동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 기술혁신능력 및 기술사업화역량이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