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through Local Currency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류기환(Ki-Hwan Ryu)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9권 제1호, 103~12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지난 수십 년 동안 경제성장으로 인해 소득은 높아졌지만 사회적 연대는 미약한수준이다. 국가가 시장을 형성하던 시대를 지나 자기 조정식 시장이 국가와 사회로부터 독립하여 확대되고 있는 시대가 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사회 혹은 공동체를 자발적으로 만들고이를 통해 소속감, 행복감, 자존감을 높이며 삶을 새롭게 꾸려 나갈 수 있는 대안적 발전 모델의 하나로 제시된 운동이 지역화폐(Community Currency)이다. 지역화폐는 현재 영국, 호주, 미국, 캐나다를 중심으로 유럽, 남미, 아시아 각국을 포함해 전세계 2,000여 지역 이상에서 실험되고 있는 새로운 지역사회 운동이다. 지역화폐 운동은 노동력과 물품을 가상의 지역화폐를 매개로 교환 거래할 수 있도록 체계화 하려는 일련의 노력으로, 회원 간 돈 없이도 재화와 서비스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제도를 체계화 하고자 하는것이다. 지역화폐 운동은 지역사회의 개발과 지역공동체 형성이라는 보완적 시각에서 접근할 여지가충분하므로, 시대에 발맞춘 새로운 형식의 지역화폐를 제안하려고 한다. 본 논문의 모델은 지역화폐를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복지사업의 일환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최신의 IT기술을 활용하여, 지역화폐 모델과 협동조합, 시민단체를 결합하여 지역 내 재화와 용역의 유통구조를확보하고, 이 과정에서 생산되는 부를 지역사회 복지기금으로 마련, 사회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지역 내 공동사업, 노후복지, 공동육아 등 마을 단위의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고 마을 내 소통을 활성화하여 자연스럽게 마을 공동체 문화를 활성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그러나 지역화폐 운동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한나라의 경제규모나 지역경제의 규모와 단순 비교해 활성화 성공여부를 논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며, 지역사회 복지사업과 IT를 접목한 것에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incomes have been increased for the past decades as a result of the economic growthin Korea, but the social solidarity is still weak. Passing through the age when the stateforms the market, it became an era when a self-regulating market expands as achievingits independence from a state and society. Under this circumstance, the CommunityCurrency is the movement proposed as one of the alternative development models tocreate a society or community voluntarily and through this, raise the sense of belonging,happiness and self-esteem and form a new life. The Community Currency is a new local community movement mainly experimented inthe UK, Australia, the U.S. and Canada and it is also implemented in over 2,000 countriesof Europe, South America, and Asia. As part of the efforts to organize the trading of laborservices and products with the medium of virtual community currency, the CommunityCurrency Movement tries to systematize the structure to give and take the goods andservices without involving any money among the members. Given that the Community Currency Movement has an enough room to approach from thecomplementary perspectives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society and the formation of localcommunity, it is to suggest a new type of community currency keeping up with the times. The model for this study can be defined as part of a regional society welfare projectbased on the community currency. Using the latest IT technology, this model secures thegoods and services within the region by combining the community currency model,cooperative association and civic group, and prepare the social virtuous cycle througharranging the wealth produced in this process as a welfare fund of the community. Thisis part of efforts to revitalize town community culture naturally as establishing the socialsafety net by the town unit such as a joint project, retirement welfare, communal childcare, etc. within the region and activating communications in the town. However, there was a limitation in discussing whether the revitalization was successful ornot by simply comparing the impact of the Community Currency Movement on theregional economy to a nation’s economic scale, but the significance is in combining thecommunity welfare project with the I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지역경제 발전 모델의 개발
Ⅳ. 지역화폐 도입에 대한 대안제시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화폐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 미국과 EU의 무역조정지원 사례 연구 및 시사점
-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The Improvement Plan for Trade Balance in Sri Lanka: Focused on the Export Performance
- 미국과 아시아 주식시장 간의 변동성상관관계 분석
- 대학생 참여 CSR유형에 따른 기업이미지, 기업평판 및 구매의도의 영향력 분석
- An analysis on the equilibrium in the real capital market: Comparison between German and Korea
- OECD 19개 주요국가의 소득불평등 요인분석
- 탄소배출권의 효율적 투자선 및 최적 포트폴리오 구성 연구
- A Study on Return and Volatility Spillovers in Chinese Stock Market
- 연평도 꽃게 자원 최적규모 추정을 통한 종합적 관리 방안
- 중국 인터넷 쇼핑몰의 e-서비스스케이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기업들의 발생액에 의한 이익조정과 실질활동에 의한 이익조정 간의 선택에 대한 실증적 연구
- 한국 중견 전자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전략사례연구
- 중소무역기업의 uTradeHub 시스템 평가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중국 상하이자유무역시범구 운영 현황 분석
- 수출 중소기업의 네트워크와 활용 및 탐험 활동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 기술혁신능력 및 기술사업화역량이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