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Geumgangsan Tourism Project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채종훈(JongHun Chai)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9권 제1호, 153~17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08년까지 10여 년 동안 이루어진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 경제적파급효과를 산업연관분석모형을 통하여 분석하고, 향후 그 동안 중단되었던 금강산관광사업이 재개될 경우 남북한 양측의 금강산관광사업을 통한 경제적 효과 극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금강산관광사업의 시행에 따른 관광기반조성산업 투자지출 및 관광객 최종소비지출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분석절차를 따랐다. 첫째, 한국은행에서 2010년에 발간한 전국산업연관표를 관광기반조성산업과 관광산업으로 재분류하여 27×27 부문으로 재작성 하였으며,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관광산업은 관광쇼핑(소매업) 등 10개 부문으로 세분화하여 재구성 하였다. 둘째, 통합된 산업연관표로부터 생산유발승수, 부가가치유발승수, 소득유발승수, 고용유발승수를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승수와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산업에 대한 관광기반조성산업 투자지출 및 금강산관광객 최종소비지출을바탕으로 남북한경제에 미치는 총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금강산관광사업 시행기간동안(1998.11~2008.7) 관광기반조성사업 투자지출 3,881억 원과 금강산관광객의 소비지출 7,378억 원이 최종 지출되어 남한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23,777억 원,부가가치 유발효과 14,019억 원, 소득유발효과 2,736억 원, 고용창출효과 8,969명이 발생하였다. 이는 금강산관광사업 시행기간동안(10년) 총 23,777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하여국내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북한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소비지출 4,400억 원이 발생하여 북한경제에 유발된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7,378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3,388억 원, 고용창출효과 4,323명이 발생하였다. 따라서이러한 남북한경제 파급효과를 고려할 경우 금강산관광사업의 재개는 반드시 필요하며 재개를 위한 남북한 양측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study analyzed the ripple effect of Geumgangsan Tourism Project that was performedfor 10 years from 1998 to 2008 through Input-Output Model from the posteriori aspect andproposed the political alternative to maximize the economic ripple effect on South and NorthKorea through Geumgangsan Tourism Project when the suspended Geumgangsan TourismProject is resumed. For the analysis method, following study proced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ripple effectof the investment and final consumer’s expenditure caused by Geumgangsan Tourism Projecton the domestic economy. First, the study redivided the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 thatwas issued by the Bank of Korea in 2010 into 27×27 sectors including the tourism industryand subdivided the industry related to Geumgangsan Tourism Project to 10 sectors. Second,the study deducted the production, income, employment and value added multiplier from theunified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 Third, the study measured total ripple effect on theconstruction investment expenditure and the final consumer’s expenditure for the industryrelated to Geumgangsan Tourism Project.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KRW 388,100million was expended for the investment related to Geumgangsan Tourism Project and KRW737,800 million was expended as the tourist’s consumption. Its effect on the South Koreaproduction inducement was KRW 2,377,700 million, its effect on the value added inducementwas KRW 1,401,900 million, its effect on the income inducement was KRW 273,600 million. and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KRW 440,000 million was expended as the tourist’sconsumption. Its effect on the North Korea production inducement was KRW 737,800 million,its effect on the value added inducement was KRW 338,800 million. Therefore, KRW2,377,700 million was generated as a domestic ripple effect, revealing that the implementationof Geumgangsan Tourism Project contributed to the economic activ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Ⅲ. 금강산관광사업 추진현황 및 성과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종훈(JongHun Chai) . (2015).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국제지역연구, 19 (1), 153-174

MLA

채종훈(JongHun Chai) .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국제지역연구, 19.1(2015): 153-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