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Strategies of Major Cities in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City Diplomacy, SDGs, and AI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洪妵延(Jooyeon Hong)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9권 제3호, 53~8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후위기, 디지털 전환, 지속가능발전이라는 복합적 과제가 국제사회를 관통하는 가운데, 도시는 더 이상 행정 단위나 물리적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글로벌 이슈 대응의 최전선에서 새로운 외교 주체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팬데믹 이후 기술·시민참여·국제규범을 매개로 한 도시의 외교 실천은 주목할 만한 전략적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도시외교 전략, SDGs 이행, AI 기술 활용이라는 세 가지 핵심 축을 분석틀로 설정하여, 한중일 주요 도시의 외교 전략을 비교·분석하였다. 서울, 세종, 베이징, 선전, 도쿄, 후쿠오카를 사례로 SDG 11·13·17 달성을 위한 정책적 접근과 담론 전략, 그리고 AI 활용 방식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각 도시가 국가의 정치문화와 제도 구조 속에서 어떠한 외교적 위치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은 기술 실험성과 시민참여를 결합한 유연한 외교 모델을, 중국은 중앙정부 주도의 전략적 확장 모델을, 일본은 지방정부 주도의 제도화된 외교 플랫폼 모델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차이는 SDGs와 AI라는 공통 자원이 국가 맥락 속에서 어떻게 정치화(politicization)되고 전략화되는지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도시외교를 단순한 지방정부 교류가 아니라, 국가의 외교문화와 정치구조를 반영하는 정치적 장으로 규정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틀로 도시외교–SDGs–AI의 교차 분석을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 세 요소가 교차하는 지점에 주목하여 통합 분석틀을 적용함으로써, 동아시아 도시외교의 제도 설계와 전략 정렬에 관한 보다 심층적인 논의를 전개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mid the overlapping global challenges of the climate crisis, digital transform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ities are emerging as key diplomatic actors at the forefront of international engagement—moving beyond their traditional role as administrative units or physical spaces. In East Asia, particularly since the COVID-19 pandemic, city diplomacy that leverages technology, civic participation, and international norms has gained prominence as a distinctive diplomatic strategy.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ity diplomacy strategies, SDG implementation approaches, and applications of AI technology in major cities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Using a triangular analytical framework—comprising city diplomacy, the implementation of SDGs (Goals 11, 13, and 17), and the utilization of AI—this research examines how cities such as Seoul, Beijing, and Tokyo operationalize policy goals and rhetorical strategies, and how technological, institutional, and political dimensions interact in this process.
The findings reveal that city diplomacy in these contexts extends beyond administrative exchanges, reflecting distinct political culture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contributing to the reconfiguration of diplomatic practices in the region. The proposed analytical framework provides a lens to interpret the political roles and strategic orientations of cities within the evolving international order, offer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future trajectory of East Asian city diplomac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분석틀
Ⅲ. 한중일 도시외교 전략 비교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동북아논총
- 문화와 정치
- Routledge
- Global Policy
- Palgrave Macmillan
- Yale University Press
- Oxford University Press
- The RUSI Journal
- Cities in Asia
- Chicago Council on Global Affairs
-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OECD Regional Development Papers
- Netherlands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Clingendael’
- Journal of Intervention and Statebuilding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