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idening Income inequality and its determinants in 19 OECD countries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서한석(Suh, Hanseok)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9권 제1호, 53~8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80년부터 2008년에 이르기까지 OECD 19개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소득불평등과 세계화, 기술진보, 규제완화, 노조 조직률, 조세비율등 5개 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거시경제 시계열 변수들이 비정상적이기 때문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회귀분석하고, 그에 따른 검정 통계값으로 가설검정을 하는 것은 통계적으로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위근 검정을 통해 변수들의 정상성(stationarity)여부를 검정하고, 그 다음 이들 변수들간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검정한다. 변수들 사이의 장기적 관계의 존재를 공적분 검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면 그 다음 단계로 DOLS(Dynamic OLS)추정을 한다. 소득불평등 패턴에 따라 3개 국가그룹으로 구분하여 위의 설명변수들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다. 추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기술진보는 모든 국가 그룹에서 유의하게 불평등을 악화시키고 있다. 둘째, 경제적 세계화는 북유럽 국가들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그룹에서 소득불평등에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모든 국가그룹에서 조세비율과 노조 조직률이 소득불평등을 완화시켜주는 유의한 효과를 갖는 것이 아니다. 조세비율은 앵글로색슨과 북유럽 국가그룹에서만 유의하고, 노조 조직률은 앵글로색슨 국가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그룹에서만 유의하게 소득불평등을 완화시켜준다. 넷째, 규제완화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다섯째, 국가그룹별로 추정결과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국가그룹별로 소득분배개선을 위한 정책이 다르게 구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소득불평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규제완화를 제외한 4개의 설명변수들은 각 국가의 파라미터 이질성을 고려하더라도 추정결과는 매우 안정적이다.
영문 초록
Increasing income inequality in OECD developed countries has recently sparked great deal of political and economic debate. While many theories and empirical work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such increase, there has been very little panel times-series econometric analysis. By employing panel unit root and cointegration test, and DOLS estima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top 1% income shares and a number of explanatory variables for a panel of 19 OECD developed countries over the period from 1980 to 2008. Empirical result shows that such as economic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progress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income inequality, which support the SBTC hypothesis, while union density and tax ratio are factors preventing income inequality worsening in both groups of countries. Market regulation as metrics of economic freedom in most cases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income share. By sequentially omitting each country one by one and estimating coefficients of DOLS regression in the remaining sample, we are able to confirm that the estimated coefficients are relatively stable and always significant, suggesting that our results are not due to potential outliers.
목차
Ⅰ. 서론
Ⅱ. 소득불평등 확대의 요인
Ⅲ. 패널 시계열 분석 모형과 검정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화폐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 미국과 EU의 무역조정지원 사례 연구 및 시사점
-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The Improvement Plan for Trade Balance in Sri Lanka: Focused on the Export Performance
- 미국과 아시아 주식시장 간의 변동성상관관계 분석
- 대학생 참여 CSR유형에 따른 기업이미지, 기업평판 및 구매의도의 영향력 분석
- An analysis on the equilibrium in the real capital market: Comparison between German and Korea
- OECD 19개 주요국가의 소득불평등 요인분석
- 탄소배출권의 효율적 투자선 및 최적 포트폴리오 구성 연구
- A Study on Return and Volatility Spillovers in Chinese Stock Market
- 연평도 꽃게 자원 최적규모 추정을 통한 종합적 관리 방안
- 중국 인터넷 쇼핑몰의 e-서비스스케이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기업들의 발생액에 의한 이익조정과 실질활동에 의한 이익조정 간의 선택에 대한 실증적 연구
- 한국 중견 전자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전략사례연구
- 중소무역기업의 uTradeHub 시스템 평가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중국 상하이자유무역시범구 운영 현황 분석
- 수출 중소기업의 네트워크와 활용 및 탐험 활동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 기술혁신능력 및 기술사업화역량이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