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Eco-Friendly Characteristics of the Outdoor Play Space of Enviroschools Kindergarten in New Zealand
- 발행기관
- 한국가구학회
- 저자명
- 김자경(Ja K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구학회지』제36권 제3호, 293~3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recent decline in the child population due to low birth rates has heightened the demand for high-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overcome this low birth rate crisis, creating an educational and childcare environment where parents can trust and entrust their children to care at their preferred time is essential. This study examine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aces in New Zealand, which prioritize children's interests and autonomy over a uniform curriculum, prioritizing nature-friendly environments and child-centered, free play activities. It also sought to explore alternatives for diverse early childhood education spaces.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various alternatives for enhancing the eco-friendliness of outdoor spaces and play areas in New Zealand kindergartens, which prioritize nature-friendly environments and child-centered, free play activities. Focusing on eight Enviro School-certified kindergartens, this study examined the outdoor space configuration and types and components of outdoor play spaces, and investigated the eco-friendly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se space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eight types of outdoor play spaces: 80% ‘static/social interaction play spaces’, 75% ‘traditional play spaces’, 65% ‘nature-centered play spaces’, 60% ‘adventure/challenge play spaces’ and ‘creative/composition play spaces’, 50% ‘imaginative/role play spaces’ and ‘sustainable life learning play spaces’, 49% ‘imaginative/role play spaces’, and 45% ‘water play spaces’. The survey found that traditional play spaces, which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play elements, included 100% slides; nature-centered play spaces included 100% sensory gardens; adventure and challenge play spaces included 100% climbing walls and structures; creative and constructive play spaces included 100% loose parts assembly play areas; sustainable living learning play spaces included 100% vegetable gardens; and static and social interaction play spaces included 100% shade trees, tree shelters, outdoor sofas, and benches. The most important eco-friendly planning elements in play spaces were found to be those centered on integration with nature, promoting ecology, eco-friendliness,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local character.
영문 초록
목차
1. 서 론
2. 뉴질랜드 엔비로스쿨 개념 및 유치원(ECE) 계획 요소
3. 뉴질랜드 유치원 실외 놀이 공간 유형 및 구성 요소
4. 현장조사를 통한 뉴질랜드 엔비로스쿨 유치원 실외 놀이 공간 특성 분석
5. 결 론
사 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한 테라리움 테이블 개발 연구
- 조립식 가구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의자, 스툴, 벤치 중심으로
- AI 기반 매개변수형 스마트 워크스테이션 디자인 - 프롬프트 개발을 통한 생성적 시뮬레이션 연구
- 동시대 가구디자인에서의 중첩 개념 연구
- 배려 관점에서 중국 CCRC 공간의 가구 연구 - 부분 자립형 고령자를 중심으로
-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한 스트리트 퍼니처 디자인 연구 - 야외용 벤치를 중심으로
- 뉴질랜드 엔비로스쿨 유치원 실외 놀이 공간 구성 및 친환경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모션 침대 디자인 연구
- 제주해녀박물관 소장 목가구의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 단청의 연화문을 응용한 캐릭터 피규어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한 테라리움 테이블 개발 연구
- 조립식 가구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의자, 스툴, 벤치 중심으로
- AI 기반 매개변수형 스마트 워크스테이션 디자인 - 프롬프트 개발을 통한 생성적 시뮬레이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