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용수 13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s of Nutrition Program on Discretional Activity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자(Kim Hye Ja) 류상희(Ryu Sang He) 이순영(Lee Soon 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7권 제2호, 109~12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a development of children’s body and mind by providing a fundamental resource of transforming decent nutrition behaviors, changing unbalanced diet into helping nutrition habits. This study developed a nutrition program to improve the consciousness of nutrition behaviors and knowledge of nutrition. and The subjects were 6th graders of 2 classes in S elementary school in Chongju, selected as a comparative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in 12 classes for 11 weeks.
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between two comparing groups on the consciousness of nutrition and knowledge of nutrition in pre-test.
B. In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the knowledge of nutr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omparative group. However, the mean of nutritive knowledge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25.15 in pre-test, but after taking the education, it increased up to 27.61(p<.001).
C. In the consciousness of nutrition, i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a post-test taken after experiment by showing 3.31 in comparative groups and 3.61 in experimental group(p<.001).
D. As compared the knowledge of nutrition before and after education between two groups, the average score performed before educ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after education, experimental group scored 27.61, and comparative group achieved 24.79(p<.001).
In conclusion, it could improve the knowledge of nutrition with an education of nutrition, based on short-term. However, it was unable to achie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eneral consciousness of nutri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o provide a systematical, continuous nutrition education, long-term based using this program.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량활동을 통한 실과 가정학 영역의 운영논리와 실제
- 초등학생의 애완동물 소유 및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아동중심 교육 실현을 위한 초등실과교과에서의 전뇌학습 및 인지양식 기반 수업 방안
- 재량활동을 통한 실과 기술 영역 지도 가능성과 실제
- 초등학교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실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재조직에 관한 연구
- 노작교육 관점에서의 실과교육과 대안교육의 비교 분석
- 재량활동에서 전통한지를 활용한 실과 바느질 수업방안
- 문제중심학습(PBL)을 교육대학교 ‘초등 생활기술 교육(ESTE)’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모색
- 실과 교과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교육내용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제7차 실과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실과교육에 영향을 미친 노작교육 사상의 비교 연구
- 기술과 교육의 학습 과정으로서의 ‘설계과정(design process)’과 ‘문제해결(problem solving)’의 비교 연구
- 투고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