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7차 실과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under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홍규(Choi Hong Kyu)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7권 제2호, 127~1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apt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under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make it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in Jeonbuk Province, a haven of traditional culture.
The following are the changes in the restructured curriculum of the subject:
(i) In the Unit of ‘Understanding Family & Work, Techniques for Daily Needs, and Natural Resources and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 Techniques for Daily Needs were restructured;
(ii) In the Unit of ‘Growing Flowers & Plants’ for the fifth graders, the title was changed to ‘Growing Plants’ and its original two subsections were restructured to one optional subsection, ‘Growing Flowers’ or ‘Growing Plants’, and one additional one, ‘Growing Rice’. For ‘Growing Rice,’ a simple method to practice growing rice was presented;
(iii) In the Unit of ‘Our Meals’ for the fifth graders, the subsection ‘Simple Cooking’ was changed to ‘Making Traditional Foods’. For this activity, simple methods to make Songpyun or tofu of powdered rice or beans were presented;
(iv) In the Unit of ‘Making Simple Foods’ for the sixth graders, the title was changed to ‘Making Foods’ and its original two subsections were restructured to one optional subsection, ‘Making Foods of Rice’ or ‘Making Foods of Bread’, and one additional subsection, ‘Making Traditional Fermented Foods’. For the ‘Making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ctivity, the students might choose one out of ‘Making Cheonggukjang’ and ‘Making Sikhye’.
We expect that this restructured curriculum, which was designed especially for the students in Jeonbuk province, can be adopted in other provinces without any particular difficulti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교육과정 재구성 내용선정 및 분석
Ⅳ. 제7차 실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체계의 재구성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량활동을 통한 실과 가정학 영역의 운영논리와 실제
- 초등학생의 애완동물 소유 및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아동중심 교육 실현을 위한 초등실과교과에서의 전뇌학습 및 인지양식 기반 수업 방안
- 재량활동을 통한 실과 기술 영역 지도 가능성과 실제
- 초등학교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실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재조직에 관한 연구
- 노작교육 관점에서의 실과교육과 대안교육의 비교 분석
- 재량활동에서 전통한지를 활용한 실과 바느질 수업방안
- 문제중심학습(PBL)을 교육대학교 ‘초등 생활기술 교육(ESTE)’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모색
- 실과 교과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교육내용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제7차 실과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실과교육에 영향을 미친 노작교육 사상의 비교 연구
- 기술과 교육의 학습 과정으로서의 ‘설계과정(design process)’과 ‘문제해결(problem solving)’의 비교 연구
- 투고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 Speaker familiarity and affective involvement: Insights from the Santa Barbara Corpus
- Exploring ChatGPT usage purposes and profiles among Korean high school EFL learn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