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술과 교육의 학습 과정으로서의 ‘설계과정(design process)’과 ‘문제해결(problem solving)’의 비교 연구
이용수 72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Design Process’ and ‘Problem Solving’ as a Learning Process in Technolog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유현(Choi Yu 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7권 제2호, 173~19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design process and problem solving has suggested as the basic principles for invention and innovation in action based on the technological process in technology education. The study was started to solve the problems of conceptional misunderstanding of ‘design process’ and ‘problem solving’ as a technological learning process. The purpose of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the difference and the common feature between design process and problem solving for technological process in technology education.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the theory and model of design process and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Basic concepts and key-words used frequently in theory and models of ‘design process’ were identified as follows: Design, Design Brief, Modeling, Observed Need and Requirement, Opportunity, Design Specification, Prototypes, Communication, Realization, Modification, Systematic, Iterative process, Design loop, Technological capability, etc.
2. Basic concepts and key-words used frequently in theory and models of ‘problem solving’ were identified as follows: Problem, Solution(s), Find Problem Identification, Structure of Problem, Define problem, Open ended process, Implementation, Context-specific, Circular process, Technological literacy, etc.
3. The common feature of design process and problem solving for technological process in technology education were focused on procedural knowledge, integration of knowledge, real-world context, higher order thinking, open ended problem, constructivism learning environm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설계과정(design process) 모형의 탐색
Ⅲ. ‘문제해결(problem solving)’ 모형의 탐색
Ⅳ. ‘설계과정(design process)’와 ‘문제해결(problem solving)’ Process의 비교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량활동을 통한 실과 가정학 영역의 운영논리와 실제
- 초등학생의 애완동물 소유 및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아동중심 교육 실현을 위한 초등실과교과에서의 전뇌학습 및 인지양식 기반 수업 방안
- 재량활동을 통한 실과 기술 영역 지도 가능성과 실제
- 초등학교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실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재조직에 관한 연구
- 노작교육 관점에서의 실과교육과 대안교육의 비교 분석
- 재량활동에서 전통한지를 활용한 실과 바느질 수업방안
- 문제중심학습(PBL)을 교육대학교 ‘초등 생활기술 교육(ESTE)’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모색
- 실과 교과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교육내용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제7차 실과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실과교육에 영향을 미친 노작교육 사상의 비교 연구
- 기술과 교육의 학습 과정으로서의 ‘설계과정(design process)’과 ‘문제해결(problem solving)’의 비교 연구
- 투고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