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작교육 관점에서의 실과교육과 대안교육의 비교 분석
이용수 112
- 영문명
-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Alternative Education at the View of a Work Oriente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우형(Park Woo Hyoung) 정미경(Chung Mee 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7권 제2호, 209~22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school education systems now have faced with many problems and the belief that the work oriented education can help children to lead their own life by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work oriented education to amore advanced degree, to compare and analys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ith alternative education,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mutual complement at the work oriented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an alternative education. Various informations such as articles and books are gathered, classified, and interpreted for the purpose.
The work oriented education is a method of education, which includes handicraft activity or physical activities combined with mental activities, which has been spotlighted by educators since the early 19th century.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s a basic cultural subject for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work oriented education is based on philosophy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way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lso, an alternative education is the movement which points out, criticizes, and copes with the present school system problems and includes work oriented education as an important activity.
Considering all the results, the work oriented education has the value, which is “the development of meaningful learning” and “the combine of various sides of life”. The work oriented education is a part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alternative education, so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alternative education must develop each other in mutual complement.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노작교육
Ⅲ. 실과교육에서의 노작교육
Ⅳ. 대안교육에서의 노작교육
Ⅴ. 노작교육 관점에서의 실과교육과 대안교육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량활동을 통한 실과 가정학 영역의 운영논리와 실제
- 초등학생의 애완동물 소유 및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아동중심 교육 실현을 위한 초등실과교과에서의 전뇌학습 및 인지양식 기반 수업 방안
- 재량활동을 통한 실과 기술 영역 지도 가능성과 실제
- 초등학교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실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재조직에 관한 연구
- 노작교육 관점에서의 실과교육과 대안교육의 비교 분석
- 재량활동에서 전통한지를 활용한 실과 바느질 수업방안
- 문제중심학습(PBL)을 교육대학교 ‘초등 생활기술 교육(ESTE)’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모색
- 실과 교과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교육내용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제7차 실과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실과교육에 영향을 미친 노작교육 사상의 비교 연구
- 기술과 교육의 학습 과정으로서의 ‘설계과정(design process)’과 ‘문제해결(problem solving)’의 비교 연구
- 투고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Critical Review of the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 Confirmation Bias in the Age of AI and Educational Approaches for Moral Metacognition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