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and Review of University Extra-curricular Program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민(Kim, Joungmin) 유영의(Yoo, Yungeui) 이상욱(Lee, Sang-W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7호, 773~79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15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7년 현재까지의 대학에서 이루어진 비교과 활동에 대한 연구를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기준과 연구절차에 따라 총 21편의 연구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코딩(저자, 출판년도, 대상, 독립 및 종속변수 통계치 등) 메타분석의 효과검증, 동질성검증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논문의 개괄적 특성과, 대학생의 비교과 활동 경험의 결합 추정치, 비교과 프로그램별 효과크기의 결합추정치, 종속변수별 효과크기의 결합추정치, 출판편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대상의 무작위 선정, 선정기준, 프로그램의 참여기간, 빈도를 포함된 연구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사후검증을 실시한 연구가 4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교과 활동 경험의 결합추정치에서 전반적인 효과크기는 .534(95% CI, .361-.707)로 중간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I-square 값이 89.59%로 높은 이질성을 보였다.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별 효과크기는 복싱과 생활체육, 댄스가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스포츠, 여가활동이 중간크기, 동아리활동이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종속변수별 효과크기는 8편의 연구에서 비교과 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여가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음은 대학생활만족도, 자기효능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의식과 기본소양,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대학생활만족도가 중간효과크기, 그리고 여가태도가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섯째, 출판편향은 깔대기 그림에서 대칭 모양의 분포로 보아 편향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in the future by analyzing researches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university until 2017.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21 studies were selected. The study process was conducted as following order ; subject, data collection, data coding, meta analysis, and homogeneity verificati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combined estimates of students extra-curricular experiences, combined estimates of effect sizes by each extra-curricular program, combined estimates of effect sizes by dependent variables, and publication bia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including the random selection of the subject, the selection criteria, the duration and the frequency of the program was relatively small and only four included the post–verification. Second, the combined estimates of the extra-curricular experiences showed a median effect size of .534 (95% CI, .361-.707), with I2 having a high heterogeneity of 89.59%. Third, the effect size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showed highest in boxing and daily sports, medium in general sports and leisure activity, and small in club activity. Fourth, the effect si z es of dependent variables of eight studies were in the order of students leisure satisfaction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Community consciousness, basic ground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howed high effect siz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howed medium effect size, and leisure attitude had small effect size. Fifth, it is analyzed that the publication bias is not bias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symmetrical shape in the funnel figu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어과 예비교사의 교육 실습에서 나타나는 수업 화법 분석
- 읽기부진아동의 이야기 쓰기를 통해 살펴본 어휘성숙도 특성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수ᐧ학습 자료에 포함된 8가지 과학 실천 분석
- 어머니 애착과 학교폭력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력의 매개효과
- 유아 영어 교사의 교사 자아와 교수 동기
- 대학의 발표교육에서 내용구성력과 발표수행력이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과 학생의 창의성 발달 간 관계에서 교사의 혁신적 수업방법의 매개효과 검증: 학교 계열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체육과 중심의 간학문적 통합방법 적용 가능성 탐색
- 한국 간호학생의 간호실무에 대한 교내학습과 현장학습의 차이 경험
- 대학생의 성격 5요인, 정서지능과 우울, 공격성의 관계
-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의 교육공약 비교 및 쟁점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신규간호사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요구 분석 및 시나리오 개발
- 대학생이 인식하는 강의 질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비교과 활동에 대한 연구 분석과 시사점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예비교사의 성취감성이 학업몰입과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생의 성취가치와 숙달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와 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전망적 효과
- 지적장애학생의 정서안정과 자존감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개발
- Maxine Greene의 ‘상상력 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역사 수업 사례
- 간호대학생의 자기관리전략 방법이 핵심기본간호술기 교육에 미치는 효과
- 플립러닝(Flipped-Learning)을 활용한 간호대학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수 ·학습모형 개발
- Effect of Two Types of Feedback on Accuracy Development of L2 Writing
-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관한 교육부의 보도자료와 신문 사설의 긴장관계
-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이 지연 기억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들의 수업 적응도에 대한 잠재전이분석
-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인식 및 정서 연구
- 예비교사의 입학전형 유형별 교직 적·인성 특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기본간호학 교과목에서 동영상 UCC 과제 적용 연구
-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시민대학 운영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경험과 반성적 성찰에 관한 셀프연구
- 들뢰즈의 푸르스트 기호론에 기초한 유아예술교사의 역할
- 유아교사들의 수업비평 경험
- 다문화 수학교육 관점에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분석
- 초등학생의 다문화 이해 및 태도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과 일반계고 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과학 동기 수준의 비교분석
- 대학 유도선수들의 지도자신뢰와 스포츠자신감 및 경기력 간의 관계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