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based on Bloom’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천주영(Joo-Young Chun) 이성민(Seong-Min Lee) 홍훈기(Hun-Gi H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7호, 551~5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15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교육의 목표 및 내용과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만큼 교육과정 총론의 철학을 구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마찬 가지로 성취기준이 특정 범주 및 개념 이해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의 성격 및 과정중심평가의 방향과 충돌하므로 다양한 활동과 탐구가 가능 한 성취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5-6학년군 성취기준에서 상위인지가 3-4학년 군보다 오히려 감소했으므로 학년에 따른 인지과정 차원의 체계적인 위계화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성취기준에 특정 서술어 사용 빈도가 높고 대부분의 서술어가 ‘이해하다’ 인지과정에 속하므로 인지과정의 다변화를 위해 성취기준 서술어 사용의 다양화와 명료화가 필요하다. 넷째, ‘내용+행동’으로만 진술된 현재의 성취기준은 교사가 현장에서 ‘방법’ 측면을 재확인 및 고찰해야 하는 어려움이 생기므로 성취기준 제시 형태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 다섯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서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핵심 역량을 성취기준에 구체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과학과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 성취기준 개발에 대한 보다 정밀한 전략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critical to implementing the philosophy of curriculum, as it has the ability to present the aims and goals of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evalu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Bloom’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focused on specific categories and understanding concepts, lik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his conflicts with the nature of curriculum and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various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for various activities and exploration. Second, meta-cognition in the 5-6 grade was less that it in 3-4 grade rather. Thus, the systematic stratification of cognitive processes according to the academic grade shall be considered. Third, because the frequency of a particular description is high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most of the descriptions are in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understand’, the diversific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required for diversity the cognitive processes. Fourth, the current achievement standards stated only by the ‘content+action’ form have difficulties requiring teachers to review and consider them in class. Therefore, it shall be reviewed for the form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 Fifth, the 2015 revise curriculum is a competency -based curriculum, so it needs to be specifically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onclusion, a more precise development strategy is required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future curriculum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Sci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어과 예비교사의 교육 실습에서 나타나는 수업 화법 분석
- 읽기부진아동의 이야기 쓰기를 통해 살펴본 어휘성숙도 특성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수ᐧ학습 자료에 포함된 8가지 과학 실천 분석
- 어머니 애착과 학교폭력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력의 매개효과
- 유아 영어 교사의 교사 자아와 교수 동기
- 대학의 발표교육에서 내용구성력과 발표수행력이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과 학생의 창의성 발달 간 관계에서 교사의 혁신적 수업방법의 매개효과 검증: 학교 계열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체육과 중심의 간학문적 통합방법 적용 가능성 탐색
- 한국 간호학생의 간호실무에 대한 교내학습과 현장학습의 차이 경험
- 대학생의 성격 5요인, 정서지능과 우울, 공격성의 관계
-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의 교육공약 비교 및 쟁점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신규간호사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요구 분석 및 시나리오 개발
- 대학생이 인식하는 강의 질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비교과 활동에 대한 연구 분석과 시사점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예비교사의 성취감성이 학업몰입과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생의 성취가치와 숙달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와 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전망적 효과
- 지적장애학생의 정서안정과 자존감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개발
- Maxine Greene의 ‘상상력 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역사 수업 사례
- 간호대학생의 자기관리전략 방법이 핵심기본간호술기 교육에 미치는 효과
- 플립러닝(Flipped-Learning)을 활용한 간호대학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수 ·학습모형 개발
- Effect of Two Types of Feedback on Accuracy Development of L2 Writing
-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관한 교육부의 보도자료와 신문 사설의 긴장관계
-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이 지연 기억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들의 수업 적응도에 대한 잠재전이분석
-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인식 및 정서 연구
- 예비교사의 입학전형 유형별 교직 적·인성 특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기본간호학 교과목에서 동영상 UCC 과제 적용 연구
-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시민대학 운영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경험과 반성적 성찰에 관한 셀프연구
- 들뢰즈의 푸르스트 기호론에 기초한 유아예술교사의 역할
- 유아교사들의 수업비평 경험
- 다문화 수학교육 관점에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분석
- 초등학생의 다문화 이해 및 태도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과 일반계고 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과학 동기 수준의 비교분석
- 대학 유도선수들의 지도자신뢰와 스포츠자신감 및 경기력 간의 관계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