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문민경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3호, 263~2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4차년도 자료 중(2021년 기준) 고등학교 1학년 2,26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9.0, SPSS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그릿 및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지각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는그릿 및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그릿과 삶의 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있었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은유의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weather gri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2,265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as of 2021)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rom the 4th year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SPSS 29.0 and SPSS PROCESS Macro 4.2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osi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ri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grit and life satisfaction.
Grit and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grit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ositive and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confirmed that grit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 부모교육 내용체계 연구
-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 - 표현어휘력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 검증
- 한국형 사회정서교육기반 청소년기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 어머니의 그릿코칭이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0세 자녀를 둔 가정의 부모 양육 분담 불균형이 어머니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사 분담 불균형의 조절효과
-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AI) 수용 수준 분석: Rogers의 혁신 확산 이론에 따른 단계별 인식 및 교사 특성 간 차이를 중심으로
- 영유아를 위한 잠과 관련된 그림책 내용분석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