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fect of Two Types of Feedback on Accuracy Development of L2 Writing
이용수 223
- 영문명
- 두 종류의 교사 피드백이 영작문의 정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Lee, Dami(이다미) Lee, Su Jin(이수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7호, 575~59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종류의 서로 다른 교사 피드백이 영작문의 정확성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교사 피드백인 오류수정과 코멘터리가 작문의 정확성과 복잡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12주에 걸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에는 총 46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고, 이들은 오류수정 그룹 (N=25)이나 코멘터리 그룹(N=21)에 임의 배정되었다. 실험은 12주간의 영작문 수업(1주일 에 1회 2시간), 4번의 쓰기 과제 제출, 쓰기 과제에 대한 영어 원어민 교수자의 피드백에 따라 쓰기 과제 수정 제출 둥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교사 피드백이 작문의 정확성과 복잡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 사후 쓰기 시험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두 그룹 모두 사후 쓰기 시험에서 정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두 그룹 모두 시전 쓰기 시험보다 사후 쓰기 시험에서 복잡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의 결과, 오류수정과 코멘터리 모두 작문의 정확성 향상에 효과가 있으나, 두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이 더 효율적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또한 작문의 유창성 향상과 작문의 복잡성 저하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wo types of teacher feedback (i.e., error correction and commentary) on accuracy development in L2 writing. The research questions we asked were ① whether error correction and commentary lead to an improvement in writing accuracy; if so, which feedback type is more effective for accuracy improvement and ② whether error correction and commentary result in a decline in writing complexity. To examine these research question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group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 error correction group (N=25) and a commentary group (N=21). In the experiment lasting for 12 weeks in 2015, the error correction group received corrections on every grammatical error in four essays, while the commentary group received comments on content and organization in four essay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obtained by comparing the pre- and post-tests in terms of accuracy and complexity. They showed that both groups improved in writing accuracy over time and that accuracy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the pre- to post-test.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uracy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the post-test, suggesting that both types of feedback were equally beneficial to accuracy improvement. They also demonstrated that although complexity slightly regressed from the pre- to post-tes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that writing complexity did not suffer as a consequence of teacher feedback.
목차
Ⅰ . INTRODUCTION
Ⅱ . Background
Ⅲ . METHOD
Ⅳ . RESULTS
Ⅴ . DISCUSSION and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어과 예비교사의 교육 실습에서 나타나는 수업 화법 분석
- 읽기부진아동의 이야기 쓰기를 통해 살펴본 어휘성숙도 특성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수ᐧ학습 자료에 포함된 8가지 과학 실천 분석
- 어머니 애착과 학교폭력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력의 매개효과
- 유아 영어 교사의 교사 자아와 교수 동기
- 대학의 발표교육에서 내용구성력과 발표수행력이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과 학생의 창의성 발달 간 관계에서 교사의 혁신적 수업방법의 매개효과 검증: 학교 계열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체육과 중심의 간학문적 통합방법 적용 가능성 탐색
- 한국 간호학생의 간호실무에 대한 교내학습과 현장학습의 차이 경험
- 대학생의 성격 5요인, 정서지능과 우울, 공격성의 관계
-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의 교육공약 비교 및 쟁점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신규간호사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요구 분석 및 시나리오 개발
- 대학생이 인식하는 강의 질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비교과 활동에 대한 연구 분석과 시사점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예비교사의 성취감성이 학업몰입과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생의 성취가치와 숙달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와 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전망적 효과
- 지적장애학생의 정서안정과 자존감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개발
- Maxine Greene의 ‘상상력 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역사 수업 사례
- 간호대학생의 자기관리전략 방법이 핵심기본간호술기 교육에 미치는 효과
- 플립러닝(Flipped-Learning)을 활용한 간호대학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수 ·학습모형 개발
- Effect of Two Types of Feedback on Accuracy Development of L2 Writing
-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관한 교육부의 보도자료와 신문 사설의 긴장관계
-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이 지연 기억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들의 수업 적응도에 대한 잠재전이분석
-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인식 및 정서 연구
- 예비교사의 입학전형 유형별 교직 적·인성 특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기본간호학 교과목에서 동영상 UCC 과제 적용 연구
-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시민대학 운영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경험과 반성적 성찰에 관한 셀프연구
- 들뢰즈의 푸르스트 기호론에 기초한 유아예술교사의 역할
- 유아교사들의 수업비평 경험
- 다문화 수학교육 관점에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분석
- 초등학생의 다문화 이해 및 태도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과 일반계고 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과학 동기 수준의 비교분석
- 대학 유도선수들의 지도자신뢰와 스포츠자신감 및 경기력 간의 관계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