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과 예비교사의 교육 실습에서 나타나는 수업 화법 분석

이용수  420

영문명
Analysis of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Instructional Communication in Student Teaching Experie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백혜선(Paik, Hyesun) 류보라(Ryu, Bor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7호, 679~70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15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어과 예비교사들이 교육 실습 중 사용하는 수업 화법의 특징과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참여자는 3개 중등학교에서 실습한 4명의 교생으로 각 2회씩 총 8차시 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녹음 자료를 전사하여 주자료로 활용하였고, 현장 노트, 예비교사와 지도교사의 면담 자료를 보조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수업 화법의 유형은 발화, 발문, 응답으로 분류하고 이를 수업에서의 기능에 따라 수업 내용 화법, 수업 진행 화법으로 세분화하여 6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빈도를 조사하고 유형별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가 수업 화법에서 많이 사용한 화법 유형은 수업 내용 발화였고 수업 진행 화법을 어려워하였다. 참여자별로 발문과 응답의 사용량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발문과 응답의 수는 교실 내 의사소통의 활발함과 관련이 있었다. 모둠 수업, 학생 활동 수업 등 다양한 방식의 수업 운영을 위해서도 수업 진행 화법의 적절한 사용이 요구되었고, 수업의 주를 이루는 수업 내용 발화의 효과적인 사용도 성공적인 수업을 위해서 중요한 요소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facilitated by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four trainee teachers who were placed at three schools for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analyzed audio recordings from two classes per each trainee teacher for a total of eight classes, in addition to supplementary materials consisting of class obervation records and records of consultation between trainee teachers and supervising teachers. The various types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were categorized into voicing, questioning, and responding. By subdividing each category into communication related to lesson content and communication related to class progression, a total of six different types were analyzed.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w as communication related to lesson content, and trainee teachers showed difficulty in using class progression communication.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forms of class managements, such as small group- based classes and student-led class activities, required the appropriate use of class progression communication, while the effective use of lesson content communication, which comprises most of the class, was also a key factor in leading a successful cla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혜선(Paik, Hyesun),류보라(Ryu, Bora). (2017).국어과 예비교사의 교육 실습에서 나타나는 수업 화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7), 679-705

MLA

백혜선(Paik, Hyesun),류보라(Ryu, Bora). "국어과 예비교사의 교육 실습에서 나타나는 수업 화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2017): 679-7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