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들의 수업 적응도에 대한 잠재전이분석

이용수  517

영문명
Latent Transition Analysis of the Class Adjustment for University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오종현(Oh, JongHyun) 오보라(Oh, BoRa) 김우성(Kim, WooS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7호, 489~50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잠재 전이 분석을 통하여 대학생의 수업 적응도 변화를 탐색한다. 지금까지 학업 적응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선행되었으나, 개별 수업에서의 적응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탐색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표본은 경북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6년도 3월과 5월, 2회에 걸쳐 수업 적응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1·2차 설문조사에 모두 응답한 학생 262명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의 수업 적응도는 ‘적응_어려움’, ‘적응_중간’, ‘적응_높음’이라는 3개의 잠재 프로파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으며, 학생들은 학기 초 보다는 학기 말에 수업에 적응하는 것을 더 어려워함을 관찰하였다. 잠재전이모형에 성별과 고교계열을 공변수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수업적응도 1차에서 ‘적응_어려움’ 잠재상태에 속할 확률이 3.235배 더 높았다. 또한. 수업 적응도 2차 잠재상태에 따라, 학업 성취의 정도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s of class adjustment for university students over time. Although there ar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lass adjustment, there are little studies exploring longitudinal changes in class adjustment. This study carried out questionnaire survey on class adjustment to university in March and May 2016 for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sangbuk-do area. The data of 262 students who answered both the first and seco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atent profiles, the class adjustment’s profiles were classified into Adjustment_difficulty , Adjustment_medium , and Adjustment_high The results of latent transition analysis on the class adjustment shows that the students had difficulty adjusting to the class over tim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predictive of class adjustment behavior profiles at Time 1 or transitions in class adjustment from Time 1 to Time 2, gender and high school’s tracks(liberal arts vs science) were incorporated into the Latent Transition Analysis model. The result shows that female students are 3.236 times more likely to be in ‘ Adjustment_difficulty ’ state than male students.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lso differs between latent states on class adjustment. Lastly ,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 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종현(Oh, JongHyun),오보라(Oh, BoRa),김우성(Kim, WooSung). (2017).대학생들의 수업 적응도에 대한 잠재전이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7), 489-508

MLA

오종현(Oh, JongHyun),오보라(Oh, BoRa),김우성(Kim, WooSung). "대학생들의 수업 적응도에 대한 잠재전이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2017): 489-5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