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과 학생의 창의성 발달 간 관계에서 교사의 혁신적 수업방법의 매개효과 검증: 학교 계열에 따른 다집단 분석
이용수 641
- 영문명
- Verification of the mediated effect of teachers innovative teaching metho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improvement initiatives of high school teachers and development of student’s creativity: a multi 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a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은정(Hur, Eun Jung) 윤지영(Yoon, Ji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7호, 173~19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15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과 혁신적 수업 방법, 그리고 학생의 창의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한 서울교육종단연구 7차년도(2016년 10월 ~ 12월) 학생 및 교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고와 특성화고 교사들은 모두 자신의 자율적 의지에 의해 실행 여부를 판단하고 참여한 활동으로부터 수업 개선의 실질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둘째, 단위학교 차원과 교육청 차원의 수업개선 활동이 실제 수업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소속 교사들의 차별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의 혁신적 수업 방식이 실제 학생의 창의성 함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 교사의 의식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수업현장이 창의성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해 구현되고 있는지 후속 연구를 통해 밝히고 조금 더 포괄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aimed at grasp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lass improvement initiatives and innovative teaching methods that both general high and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have taken and the development of a student’s creativity. The research results have mad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Both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gained tangible fruits of improvement in their classes from the activities they’ve been voluntarily involved in. Second, if initiatives made by each school unit and the Education Office in pursuit of improving classes should make an actual change in a school teaching, both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m. Third, teachers need to purposefully review if their innovative teaching methods are focused on building creativity of students. To know if the actual teaching is made on the basis of a sound understanding about creativity, a further research should be made from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어과 예비교사의 교육 실습에서 나타나는 수업 화법 분석
- 읽기부진아동의 이야기 쓰기를 통해 살펴본 어휘성숙도 특성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수ᐧ학습 자료에 포함된 8가지 과학 실천 분석
- 어머니 애착과 학교폭력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력의 매개효과
- 유아 영어 교사의 교사 자아와 교수 동기
- 대학의 발표교육에서 내용구성력과 발표수행력이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과 학생의 창의성 발달 간 관계에서 교사의 혁신적 수업방법의 매개효과 검증: 학교 계열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체육과 중심의 간학문적 통합방법 적용 가능성 탐색
- 한국 간호학생의 간호실무에 대한 교내학습과 현장학습의 차이 경험
- 대학생의 성격 5요인, 정서지능과 우울, 공격성의 관계
-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의 교육공약 비교 및 쟁점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신규간호사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요구 분석 및 시나리오 개발
- 대학생이 인식하는 강의 질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비교과 활동에 대한 연구 분석과 시사점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예비교사의 성취감성이 학업몰입과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생의 성취가치와 숙달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와 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전망적 효과
- 지적장애학생의 정서안정과 자존감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개발
- Maxine Greene의 ‘상상력 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역사 수업 사례
- 간호대학생의 자기관리전략 방법이 핵심기본간호술기 교육에 미치는 효과
- 플립러닝(Flipped-Learning)을 활용한 간호대학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수 ·학습모형 개발
- Effect of Two Types of Feedback on Accuracy Development of L2 Writing
-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관한 교육부의 보도자료와 신문 사설의 긴장관계
-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이 지연 기억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들의 수업 적응도에 대한 잠재전이분석
-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인식 및 정서 연구
- 예비교사의 입학전형 유형별 교직 적·인성 특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기본간호학 교과목에서 동영상 UCC 과제 적용 연구
-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시민대학 운영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경험과 반성적 성찰에 관한 셀프연구
- 들뢰즈의 푸르스트 기호론에 기초한 유아예술교사의 역할
- 유아교사들의 수업비평 경험
- 다문화 수학교육 관점에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분석
- 초등학생의 다문화 이해 및 태도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농업계 특성화고 학생과 일반계고 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과학 동기 수준의 비교분석
- 대학 유도선수들의 지도자신뢰와 스포츠자신감 및 경기력 간의 관계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