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과 학생의 창의성 발달 간 관계에서 교사의 혁신적 수업방법의 매개효과 검증: 학교 계열에 따른 다집단 분석

이용수  641

영문명
Verification of the mediated effect of teachers innovative teaching metho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improvement initiatives of high school teachers and development of student’s creativity: a multi 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a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허은정(Hur, Eun Jung) 윤지영(Yoon, Ji 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7호, 173~19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과 혁신적 수업 방법, 그리고 학생의 창의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한 서울교육종단연구 7차년도(2016년 10월 ~ 12월) 학생 및 교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고와 특성화고 교사들은 모두 자신의 자율적 의지에 의해 실행 여부를 판단하고 참여한 활동으로부터 수업 개선의 실질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둘째, 단위학교 차원과 교육청 차원의 수업개선 활동이 실제 수업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소속 교사들의 차별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의 혁신적 수업 방식이 실제 학생의 창의성 함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 교사의 의식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수업현장이 창의성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해 구현되고 있는지 후속 연구를 통해 밝히고 조금 더 포괄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aimed at grasp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lass improvement initiatives and innovative teaching methods that both general high and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have taken and the development of a student’s creativity. The research results have mad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Both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gained tangible fruits of improvement in their classes from the activities they’ve been voluntarily involved in. Second, if initiatives made by each school unit and the Education Office in pursuit of improving classes should make an actual change in a school teaching, both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m. Third, teachers need to purposefully review if their innovative teaching methods are focused on building creativity of students. To know if the actual teaching is made on the basis of a sound understanding about creativity, a further research should be made from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은정(Hur, Eun Jung),윤지영(Yoon, Ji Young). (2017).고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과 학생의 창의성 발달 간 관계에서 교사의 혁신적 수업방법의 매개효과 검증: 학교 계열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7), 173-196

MLA

허은정(Hur, Eun Jung),윤지영(Yoon, Ji Young).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개선 활동과 학생의 창의성 발달 간 관계에서 교사의 혁신적 수업방법의 매개효과 검증: 학교 계열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2017): 173-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