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Meaning of Teacher Education Experience to Promote the Gr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상미 김갑순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3호, 219~24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들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J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학급 담임을 맡고 있는 영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그릿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교사교육을 주 1회 120분씩 총 8회 진행하였다. 자료는 참여자 저널과 개별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주제 분석과 유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그릿 증진 교사교육을 통해 상황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변화(민감한 반응과대처, 변화하는 영유아교육현장 수용과 전문성 지향), 교직지속 동기 부여(이직 및 사직에 대한 사고 변화, 자부심과 자신감 회복), 도전과 극복(자기조절능력 강화, 긍정적 영유아 생활지도 노력), 반성적 성찰(자기인식의 재구성, 직무 가치관의 재정립, 행동 주체성의 강화, 행정적․제도적 차원의 성찰로 확장)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의 그릿 능력 증진 프로그램 운영 및 그릿 교사교육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직무 지속성, 나아가 교육현장의 질적 향상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eacher education experiences to promote the grit of infant teachers. To this end, a grit promotion program was organized for 10 infant teachers in charge of clas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J-do, and teacher education was conducted 8 times a week for 120 minut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journals and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and nomadic analysis methods. The study foun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changes in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situation (sensitive response and coping, acceptance of changing infant education sites and professionalism), motivation to continue teaching (change of thinking about resignation and resignation, restoration of pride and confidence), challenges and overcoming (strengthening self-regulation ability, positive infant life guidance efforts), and reflective reflection (reconstructing self-awareness, re-establishing job values, strengthening behavioral subjectivity, and expanding to reflection on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levels) through grit-promoting teacher education.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 부모교육 내용체계 연구
-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 - 표현어휘력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 검증
- 한국형 사회정서교육기반 청소년기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영유아 어머니의 그릿코칭이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0세 자녀를 둔 가정의 부모 양육 분담 불균형이 어머니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사 분담 불균형의 조절효과
- 영유아교사의 인공지능(AI) 수용 수준 분석: Rogers의 혁신 확산 이론에 따른 단계별 인식 및 교사 특성 간 차이를 중심으로
- 영유아를 위한 잠과 관련된 그림책 내용분석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