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교사의 성취감성이 학업몰입과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63

영문명
Th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Achievement Emotions on Their Learning Flow and Academic Burnou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태정(Park, Tae Jung) 송윤희(Song, Yun H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7호, 223~23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교수-학습 상황에서 인지, 행동에 이어 감성에 대한 논의가 증대되고 있으며 그 중 학습자의 성취결과와 관련된 감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예비교사가 학습 또는 교수 상황에서 겪는 감성적 상태인 성취감성(achievement emotions)은 본인의 학업 과정 및 결과에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향후 교수자로서 학생들을 가르칠 때에도 중요한 교수 변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성취감성, 학업몰입 및 학업소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교수-학습 환경에서 유발되는 감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A대학교와 경기 B대학교 146명의 교직이수 학생 자료를 2016년 2학기 학기말에 수집하여 다중회귀를 통해 성취감성 이 학업몰입 및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관련 감성이 학업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수업관련 감성, 학습관련 감성 및 시험감성이 학업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학습상황에서의 감성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More recently, the importance of emotions as well as cognition and behaviors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has been increasing. Specifically, research on emotions in field of education largely focused on emotions relevant to achievement process and results of learners. Achievement emotions which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during learning or teaching could not only affect their academic process and results but also become an essential instructional variable when teach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e understanding emotions induced within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through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emotions, learning flow and academic burnout. To achieve this goal, we collected the data in the end of autumn semester 2017 from 146 students taking a course on teacher education from A university in Seoul and B university. and analyzed whether and how achievement emotions influence learning flow and academic burnout using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learning-related emotion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flow , and class-related emotions, learning-related emotions and test emotion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academic burnout. It is anticipated that this will be preliminary evidence for the functions of emotions in academic situ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태정(Park, Tae Jung),송윤희(Song, Yun Hee). (2017).예비교사의 성취감성이 학업몰입과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7), 223-239

MLA

박태정(Park, Tae Jung),송윤희(Song, Yun Hee). "예비교사의 성취감성이 학업몰입과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2017): 223-2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