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이용수 628
- 영문명
- 유아교육에서의 실행 연구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혁규(Lee, Hyugky)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1집 제1호, 331~3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의 유아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실행 연구의 특징과 경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에서 실행 연구가 어떻게 시작되어 발전하여 왔는지를 먼저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이어서 유아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실행 연구의 경향을 개관하고 유아 교육 분야 실행 연구의 논문들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혔다. 한국에서 실행 연구는 1950년대에 현장 연구라는 이름으로 보급되었으며 기존 현장 연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1990년대 이후 실행 연구로 개칭되고 순환적이고 질적인 연구의 성격으로 변화하였다.
유아 교육 분야에서는 1990년대에 실행 연구 전통의 영향을 받아서 현장 개선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유아 교육 분야 실행 연구 논문을 실행 연구 주제, 실행 연구의 방법, 실행 연구의 개선 대상, 실행 연구의 참여자 형태의 네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전체적으로 볼 때 유아 교육 분야의 실행 연구는 과거 현장연구의 관행을 탈피해서 교육 현장 개선 연구의 최근 경향을 반영하려는 노력을 어느 정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특징을 보면 교수 방법을 개선하려는 기술적 실행 연구(technical action research)가 주로 수행되고 있으며, 연구가 지향하는 범위도 교실 실행 연구(classroom action research)의 범위에 머물러 있다. 그리고 단독 연구보다는 공동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 참여자들 간에 협동적인 실행은 잘 관찰되지 않고 있다. 이런 분석에 터하여 실행 연구의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action research conduct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applied four classification standards to examine the research: theme of the silhaeng study, method of silhaeng study, scope of improvement, and participants of the study.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In general, the action researc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ce the 1990’s, applied circul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ntributing to overcoming the problems of the past hyeonjang researches in Korea and improving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field. However, technical action research was mainly practiced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methods, and also the range of improvement
that the research orientated on only hovered around the category of classroom action research. Furthermore, rather than independent research, joint researches were being executed in majority but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not observed from the papers. Based on such analysis,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range of improvement, which the action research orients on, conducting a large-scale cooperative research, and executing a dialogical and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has been suggested by this study.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Action Research in South Korea
Ⅲ. Silhaeng research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Ⅳ.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Research Method to Improve the Field of Education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양식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언어차원과 시각차원을 중심으로
- 통합적 미술 수업이 중학생의 정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강의평가 관련 요인 탐색 : 무성의 응답의 영향을 중심으로
-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중심으로
- 수석교사제의 법제화가 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청도 한국 조기유학생들의 초국적 교육환경: 교육의 시장화와 다양성의 딜레마
-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의 차이
- 학교 환경과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탐색
- 미국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의 특성 및 인식론적 신념과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의 조절효과
-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 일상적 다문화 대중교육 텍스트로서의 TV 기업 공익 광고물에 대한 질적 분석
-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 Is 'the whip of love' still worth it?: Controversies over the ban of physical punishment in Kore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