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적 미술 수업이 중학생의 정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24
- 영문명
- The Effects of Integrative Art Instruction on Emotion and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정유선(Jung, Yousun) 노용(Row, Yong) 노주영(Noh, Jooyou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1집 제1호, 203~23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들에게 통합적 미술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정서와 학교적응 정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경기도 S 중학교 남·녀 혼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에는 정서지원을 위한 통합적 미술 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수업을 하였다. 측정도구로 신뢰도를 검증 받은 정서표현 및 조절에 관한 설문지와 학교 적응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하였고 두 집단 간의 차이비교를 통해 정서지원을 위한 통합적 미술수업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정서표현 및 조절의 하위요인인 일반 정서표현, 친밀감 표현, 긍정적 정서표현, 정서조절과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환경에 대한 긍정도, 교우들 간의 친밀감, 교사에 대한 친밀감, 학습에 대한 의욕도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서지원을 위한 통합적 미술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중학생들의 정서표현 및 조절,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spects a case of art instruction in order to examine what effect it has on emotional expression and regulation on school adjustment level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integrative art instruction program to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subjects were divided between the students in a class with a mixture of boys and girls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t “S” middle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with a general method. The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with the integrative art instruction program, centering on the art curriculum for emotional support. A measurement tool was carried out pre and post questionnaire survey by using a questionnaire on emotional expression and regulation, and a questionnaire on school adjustment, which acquired verification of reliability.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ive art instruction program centering on art curriculum for emotional support was verified through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dicated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elements of sub-factors for emotional expression and regulation such as general emotional expression, intimate expressio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regulation ability. It was again higher in the additional sub-factors for school adjustment such as positive level on school environment, intimacy among schoolmates, intimacy with teacher, and a desire for learning. In conclusion, it could be known that the integrative art instruction program for emotional support led to a positive chang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regulation, and i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중학생의 정서와 정서지원 통합적 미술 수업 프로그램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양식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언어차원과 시각차원을 중심으로
- 통합적 미술 수업이 중학생의 정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강의평가 관련 요인 탐색 : 무성의 응답의 영향을 중심으로
-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중심으로
- 수석교사제의 법제화가 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청도 한국 조기유학생들의 초국적 교육환경: 교육의 시장화와 다양성의 딜레마
-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의 차이
- 학교 환경과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탐색
- 미국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의 특성 및 인식론적 신념과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의 조절효과
-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 일상적 다문화 대중교육 텍스트로서의 TV 기업 공익 광고물에 대한 질적 분석
-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 Is 'the whip of love' still worth it?: Controversies over the ban of physical punishment in Korea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