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로서의 성장과 장애 정체성 : “삶이 교육과정이 될 때”
이용수 0
- 영문명
- Teacher Growth and Disability Identity : “When Life Becomes th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김소라 김원호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8권 제3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교원이 장애인식개선교육 강사로 참여하는 경험의 본질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식개선교육 강사 경험이 풍부한 장애인교원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자료 분석 결과, ①삶을 살아있는 교육과정으로: 경험의 교육적 재구성, ②장애와 교사 정체성의 공명: 효능감의 발견과 확장, ③경계를 넘어선 실천: 성찰, 연대, 그리고 임파워먼트, ④서사의 재구성: ‘나의 장애’를 교육의 언어로 되찾기라는 4개의 핵심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는 장애인 교원들이 자신의 ‘삶을 살아있는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고, 그 과정에서 ‘장애와 교사 정체성의 공명’을 통해 효능감을 발견하며, ‘경계를 넘어선 실천’속에서 연대하고, 궁극적으로 ‘자신의 서사를 교육의 언어로 되찾는’ 자기주체화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혁적 경험은 장애인 교원이 단순한 정보 전달자를 넘어, 포용 교육을 실현하는 의미 생성자이자 핵심 주체로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들의 교육적 가치를 조명하고, 향후 관련 정책 및 지원 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disabled teachers construct meaning from their experiences as instructors in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examines how these practices influence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 realization of inclusive education.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with disabilities who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delivering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yielded four core themes: (1) Life as a Living Curriculum: The Educational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2) The Resonance of Disability and Teacher Identity: Discovering and Expanding Efficacy; (3) Practice Beyond Boundaries: Reflection, Solidarity, and Empowerment; and (4) Reconstructing the Narrative: Reclaiming 'My Disability' in the Language of Education. These findings reveal a transformative process wherein the disabled teachers reconstruct their 'lives as a living curriculum,' discover efficacy through the resonance of disability and teacher identity, build solidarity through practice beyond boundaries, and ultimately experience subjectification by reclaiming their narrative in the language of education. This transformative experience demonstrates that disabled teachers can evolve from being mere information providers into meaning creators and key agents of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for future policy support for disabled teachers and for fostering an inclusive educational culture.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