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의 특성 및 인식론적 신념과의 관계 분석
이용수 329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Epistemological Belief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리순아(Lee Soonah) 김현진(Kim Hyunji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1집 제1호, 233~25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특징들이 그들의 인식론적 신념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미국 T 대학의 교사양성 프로그램에 등록된 예비교사들에게 인식론적 신념 검사를 실시하여, 수준에 따라 10명을 채택하였다. 그들의 현장 실습 경험에 관한 반성적 저널을 질적 분석하여 반성의 주제, 내용적 특징, 수준을 유형화 하였다. 이 유형들이 인식론적 신념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반성의 주제에 있어서는 인식론적 신념 수준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반성의 내용적 특성인 반성의 초점, 학생 및 감독교사와의 권위 관계 인식, 내면고찰의 정도와 반성적 사고의 수준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세련된 인식론적 신념을 가질수록 숙달목표 지향적 반성 초점과 보다 구체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반성 수준을 보였으며, 학생 및 감독교사와의 관계를 보다 수평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서 반성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예비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ir epistemological beliefs (EB). The Epistemological Beliefs Inventory (EBI) was administrated to American students in the first semester of their undergraduat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T” and five students who recorded the highest scores and five students at the lowest score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ir reflective journals describing critical incidents during their first internships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 main topics,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nd levels of their reflec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EB and low EB groups in terms of their focus of reflection, awareness of authority issue with their students and their cooperative teachers, the degree of their inner reflection about themselves, and the levels of their reflective thinking. The pre-service teachers who had sophisticated EB were more likely to write reflective journals reflecting a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suggested more concrete and action-oriented solutions to the described incidents. In addition, most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high EB group criticized more often their cooperative teachers' approaches to teaching and classroom management, whereas pre-service teachers in the low EB group tended to be concerned about establishing their authority as a teacher. This study can make a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on the teacher education by providing insights about the function of epistemological beliefs in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양식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언어차원과 시각차원을 중심으로
- 통합적 미술 수업이 중학생의 정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강의평가 관련 요인 탐색 : 무성의 응답의 영향을 중심으로
-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중심으로
- 수석교사제의 법제화가 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청도 한국 조기유학생들의 초국적 교육환경: 교육의 시장화와 다양성의 딜레마
-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의 차이
- 학교 환경과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탐색
- 미국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의 특성 및 인식론적 신념과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의 조절효과
-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 일상적 다문화 대중교육 텍스트로서의 TV 기업 공익 광고물에 대한 질적 분석
-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 Is 'the whip of love' still worth it?: Controversies over the ban of physical punishment in Kore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