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양식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언어차원과 시각차원을 중심으로
이용수 387
- 영문명
-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objective cognitive style tests and self-report cognitive style tests: focusing on verbal dimension and visual dimens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태연(Lee, Taeyeo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1집 제1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습자의 인지양식을 구분하기 위한 그 동안 사용되어 왔던 객관형 검사와 자기 보고형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비교하고, 인지양식이 실제 학습수행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대표적인 객관형 검사인 인지양식평가(CSA) 검사와 언어-심상 인지양식(VICS) 검사의 신뢰도를 비교하여 학습자의 인지유형을 더 신뢰성 있게 구분해주는 객관형 검사를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언어-심상 인지양식(VICS) 검사는 인지양식 평가(CSA) 검사에 비해 더 높은 내적 일관성과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여 학습자의 인지양식을 신뢰성 있게 구분해줄 수 있는 객관형 검사로 밝혀졌다. 한편 연구 2-1에서는 특정한 학습자가 언어-심상 인지양식(VICS) 검사와 자기 보고형 검사에서 동일한 인지유형으로 평가되는지를 알아본 결과 두 검사에서 평가된 인지유형 간의 일치수준은 높지 않았다. 연구 2-2에서는 인지양식에 적절한 학습조건에서 더 좋은 학습수행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 자료를 텍스트로 제시하거나 애니메이션과 나레이션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인지유형과 제시조건 간의 상호작용이 자기 보고형 검사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추가분석에서도 인지유형에 따른 수행차이가 자기보고형 검사에서만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객관형 검사는 학습수행의 결과보다 학습과정에 포함된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선호를 반영하는 검사라고 할 수 있는데 비해 자기 보고형 검사는 실제 학습수행의 결과를 잘 예측하는 검사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compa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objective tests and self-report tests which have been used for classifying cognitive styles of learners, and to investigate whether cognitive styles of learners predicted their learning performances. In study 1, a CSA test was compared with a VICS test in order to find a more reliable objectiv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VICS test appeared to be a more reliable objective test with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high test-retest reliability than the CSA test. In study 2-1, assessment agreement between a VICS test and a self-report test was tested and low assessment agreement was found as a result. It implied that the two tests assessed different cognitive aspects of learners. In study 2-2, learning materials were presented to learners in text or in animation and narration in order to examine whether learners showed their best performances in adequate presentation conditions. Meaningful interactions between cognitive style conditions and presentation conditions were found only in self-report test conditions and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styles were not found in the VICS tests. In conclusion, objective tests reflect preferences of learners for information processing but self-report tests accurately predict actual learning performances of studen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1. 인지유형 평가(CSA) 검사와 언어-심상 인지유형(VICS) 검사의 신뢰도 비교
Ⅲ. 연구 2. 객관형 검사와 자기 보고형 검사의 평가 일치도와 예언 타당도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양식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언어차원과 시각차원을 중심으로
- 통합적 미술 수업이 중학생의 정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강의평가 관련 요인 탐색 : 무성의 응답의 영향을 중심으로
-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중심으로
- 수석교사제의 법제화가 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청도 한국 조기유학생들의 초국적 교육환경: 교육의 시장화와 다양성의 딜레마
-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의 차이
- 학교 환경과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탐색
- 미국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의 특성 및 인식론적 신념과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의 조절효과
-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 일상적 다문화 대중교육 텍스트로서의 TV 기업 공익 광고물에 대한 질적 분석
-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 Is 'the whip of love' still worth it?: Controversies over the ban of physical punishment in Kore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