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강의평가 관련 요인 탐색 : 무성의 응답의 영향을 중심으로
이용수 474
- 영문명
- Multilevel Analysis of the Effects of Student and Course Characteristics on Student Evaluations of University Teaching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최보금(Choi, Bokeum) 김재웅(Kim, Jaewoo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1집 제1호, 77~1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대학생 강의평가에서 모든 문항에 똑같은 번호를 체크하는 무성의한 응답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 거의 모든 대학들에서 강의평가는 교수의 질을 보장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무성의 응답 비율이 높아질수록 강의평가 결과의 타당도가 위협받고 이에 따라 결과 활용 역시 제한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의평가 자료의 다층 구조를 반영하여 대학생 강의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수업 수준의 변인들을 고려한 상태에서 무성의 응답이 실제로 강의평가 총점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당 수업에 대한 학생의 무성의한 응답은 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 성취도, 공부시간, 수업난이도, 수강환경, 그리고 교수 연령과 더불어 강의평가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무성의한 응답은 학생수준에서 강의평가 총점을 유의하게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나 합리적인 강의평가 결과 활용을 위해서는 이를 줄이기 위한 학문적‧행정적 관심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Nearly every Korean post-secondary institution employs mandatory student evaluations of teaching (SETs) to assur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in classes. In these days, however,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suffer from high rate of student insincere response which means students mark the same option number to all set of questions. The higher rate of insincere response appears, the lower validity of the result of SETs is to be unavoidable. To increase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student insincere response on SETs, this study examined 11,203 SETs cases from general education courses at 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was used to analyze the multilevel data, which includes student-level data such as student characteristics(sex, academic year, major, achievement), class experiences(study hours, student perception of course difficulty, physical classroom environment), and insincere response as well as course-level data comprising faculty characteristics(sex, status, age) and course characteristics(type, size). The results empirically showed that student insincere respons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core of SETs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all the student- and course-level variables. It provides new perspectives about the administration of current course evaluation system on the one hand,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SETs results on the other hand.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양식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언어차원과 시각차원을 중심으로
- 통합적 미술 수업이 중학생의 정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강의평가 관련 요인 탐색 : 무성의 응답의 영향을 중심으로
-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중심으로
- 수석교사제의 법제화가 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청도 한국 조기유학생들의 초국적 교육환경: 교육의 시장화와 다양성의 딜레마
-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의 차이
- 학교 환경과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탐색
- 미국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의 특성 및 인식론적 신념과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의 조절효과
-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 일상적 다문화 대중교육 텍스트로서의 TV 기업 공익 광고물에 대한 질적 분석
-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 Is 'the whip of love' still worth it?: Controversies over the ban of physical punishment in Kore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