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의 차이
이용수 886
- 영문명
- The Effects of Types of Learning Community on Self-Determin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누리(Kim, Nooree) 장선영(Jang, Seonyoung) 송청락(Song, Chungrak)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1집 제1호, 23~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서 활발하게 운영 중에 있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라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내에 있는 S대학에 재학생 중 692명의 ‘경험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율형과 의무형 집단에 속한 학생들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활동 전 후로 자기결정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활동 후에는 추가로 학습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결정성 지수가 떨어졌다. 자율형 집단과 의무형 집단 각각을 구분하여 실험전•후를 비교한 결과 역시 두 집단 모두 평균값이 하락하였다. 특히 의무형 집단의 경우 하락의 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에 있어서는 의무형 집단에 비해 자율형 집단이 높은 평균값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첫째, 학생들의 자율성이 활동 전후와 비교하여 하락한 것은 프로그램 활동에 대한 보상체제를 외적보상체계에만 의존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되며 이를 지양하고 내적보상을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교수자와 학습자 멘토들에게 학습공동체 활동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학습 주제 및 학습활동에 흥미와 관심을 모을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 적용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wo types of learning community (an autonomy group and a compulsory group) on self-determin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69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belonged to a compulsory group have had considered their grades during studying. In contrast, the students that belonged to an autonomy group could study without any restriction.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were analyzed in terms of covariance analysis, t-test,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ree things as follows: Firstly, self-determination index of a comparative group is higher than one of a controlled group in significance level. Secondly, self-determination index of the students belonging to both a compulsory group and an autonomy group de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ies. Thirdly,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of an autonomy group is higher than ones of a compulsory group in significance level. Implications that emerged from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A successful learning community requires supports to stimulate and sustai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dditionally, continuing monitoring and providing appropriate feedback from instructors and mentors are also needed for effective learning communities. Other considerations are discussed in detai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양식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언어차원과 시각차원을 중심으로
- 통합적 미술 수업이 중학생의 정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강의평가 관련 요인 탐색 : 무성의 응답의 영향을 중심으로
-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중심으로
- 수석교사제의 법제화가 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청도 한국 조기유학생들의 초국적 교육환경: 교육의 시장화와 다양성의 딜레마
-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의 차이
- 학교 환경과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탐색
- 미국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의 특성 및 인식론적 신념과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의 조절효과
-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 일상적 다문화 대중교육 텍스트로서의 TV 기업 공익 광고물에 대한 질적 분석
-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 Is 'the whip of love' still worth it?: Controversies over the ban of physical punishment in Kore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