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별자리학교 재학생의 성과주의 담론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푸코의 주체화 개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n Byeoljari School Students Within the Performance-Based Discourse: Focusing on Foucault’s Concept of Subjectiv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강수연 강지후 김예린 이경미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8권 제3호, 67~10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성과주의가 지배적 담론으로 작동하는 한국 사회에서 대안학교 학생들이 성과주의와 어떠한 방식으로 관계 맺으며 주체로 구성되는지 푸코의 주체화 개념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미인가 대안학교인 ‘별자리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2명과 교사 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공교육의 성과주의 통치성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별자리학교에 진학하였으나, 별자리학교에서도 여전히 성과주의 담론의 미시적인 작동을 경험하였다. 이들은 프로젝트, 공모전 등의 성과를 추구하며 자기 자신을 규율하는 방식으로 예속화되었으나, 동시에 자신의 선택과 경험을 성찰하고 삶의 방향을 재구성하려는 자기배려의 실천을 통해 성과주의를 비판적으로 전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성과주의 담론을 단순히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것을 넘어, 자기 삶의 맥락에서 성과의 의미를 재구성하며 주체로 형성되고 있었다. 이 연구는 공교육과 대안교육의 이분법적 구도를 넘어, 담론과 권력이 다양한 교육 공간에서 어떻게 교차하는지 조망하며, 주체 형성의 공간적·제도적 조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tudents at an alternative school in South Korea engage with and are shaped by performance-based discourse, a dominant discourse in neoliberal society, using Michel Foucault’s concept of subjectivation. Drawing on in-depth interviews with 12 students and two teachers at "Byeoljari School," a non-accredited alternative secondary school in Seoul, this study adopts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The findings reveal that participants critically recognized the performative governmentality embedded in mainstream schooling and chose to leave the public system. However, performance-based discourse remained operative within the alternative school, where students continued to self-regulate in pursuit of visible achievements such as project results and awards. Despite this, they also engaged in self-reflection and practices of self-care, attempting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performance within the context of their own lives. These processes demonstrate that subjectivation involves both subjection and resistance. This study challenges the binary between public and alternative education and offers a nuanced understanding of how discourse and power operate across different educational spaces, enabling critical subject formation even under conditions of subjec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수연,강지후,김예린,이경미. (2025).별자리학교 재학생의 성과주의 담론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푸코의 주체화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8 (3), 67-100

MLA

강수연,강지후,김예린,이경미. "별자리학교 재학생의 성과주의 담론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푸코의 주체화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8.3(2025): 67-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